뷰페이지

“지재권은 새 먹거리… 변호사·변리사 손잡아야”

“지재권은 새 먹거리… 변호사·변리사 손잡아야”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16-02-25 23:42
업데이트 2016-02-26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한특허변호사회 초대 회장 김승열씨

“협소한 국내 시장에서 변리사들과 밥그릇 싸움을 하려고 우리 협회를 만든 게 아닙니다. 세계 시장에서 국제 경쟁력을 갖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변호사들과 변리사들이 손을 맞잡아야 합니다.”

이미지 확대
김승열 대한특허변호사회 회장
김승열 대한특허변호사회 회장
지난달 27일 출범한 대한특허변호사회의 초대 회장으로 취임한 김승열(55·사법연수원 14기) 변호사는 25일 서울신문과 가진 인터뷰에서 “이제는 특허나 상표, 저작권 등 지식재산(Intellectual Property·IP) 분야가 국내외적으로 커다란 먹거리 산업으로 떠올랐다”면서 “이 때문에 변호사와 변리사 간 협업이 한층 더 중요해졌다”고 말했다.

특허변호사회는 변리사 자격을 가진 변호사들의 모임이다. 김 회장은 카이스트 지식재산대학원 겸직교수를 맡고 있다. 대통령 소속 국가지식재산위원회 민간위원과 대한변호사협회 소속 지식재산연수원 운영위원 등으로도 활동했다.

변리사는 별도의 시험을 통해 자격증을 받지만 변호사는 별다른 시험을 거치지 않고 실무 수습을 받으면 변리사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변호사 업계와 변리사 업계는 업무 영역을 놓고 자주 대립해 왔다. 이번에 특허변호사회가 출범하자 대한변리사회가 비판의 목소리를 낸 것도 그런 맥락에서다.

“과거에는 변리사의 기본 업무가 특허명세서 작성 등에 머물렀지만 이제는 시대가 달라졌어요. 기업이 보유한 특허 등이 늘어 가치 평가를 하는 변리사의 역할이 커지고 있고, 법률 전문가인 변호사와 변리사 사이에 협업해야 할 분야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김 회장은 특허변호사회 운영의 3대 원칙으로 공개성, 디지털, 글로벌 등을 꼽았다. 그는 “회의 과정을 동영상으로 올리는 등 조직 운영을 공개할 것”이라면서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전문가가 관련 정보를 공유하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플랫폼 등을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식재산에 관심 있는 법조인을 대거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둘 생각”이라며 “로스쿨 재학생이 기초작업을 배울 수 있는 실무교육 등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6-02-26 25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