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장 블로그] 객실부 분리 이견 자초한 ‘불신의 응어리’

[현장 블로그] 객실부 분리 이견 자초한 ‘불신의 응어리’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7-03-27 22:42
업데이트 2017-03-27 23: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의 ‘선체 절단’ 여부를 두고 해양수산부와 희생자 가족들 사이에 긴장감이 높아졌습니다. 해수부는 인양 완료 이후 미수습자 수색을 위해 필요하다면 선체 절단을 검토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가족들은 미수습자 시신이 훼손될 수 있는 데다 제대로 된 침몰 원인 규명도 어려워질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양쪽 이야기 모두 일리가 있습니다. 옆으로 누워 있는 선체 객실부에 진입하는 것이 어렵고, 그렇다고 세월호를 통째로 바로 세우려다가는 3년 가까이 바다에 가라앉아 있던 선체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객실부 수색도 늦춰질 수밖에 없습니다. 수색 요원의 안전도 고려해야 합니다.

하지만 객실부만 분리해 육상에 바로 세운 뒤 수색하는 ‘객실 직립 방식’에도 분명히 문제가 있습니다. 작업 과정에서 침몰 원인 파악의 단서가 될 수도 있는 객실부와 동력부 연결 전선 및 기기들의 파손, 객실 내부에 있을 미수습자들의 시신과 희생자 유품 등이 훼손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견 대립이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을 보이자 김영석 해수부 장관이 27일 “(선체 절단 등) 기존 계획에 집착하지 않고 미수습자 가족과 유가족, 선체조사위원회와 충분한 협의를 통해 원만하게 모두가 공감하는 방향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지금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애초에 경제적 관점에서 접근해 최저가로 입찰한 상하이샐비지와 인양 계약을 맺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해상 크레인과 플로팅독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지난해 7월까지 인양을 완료하겠다고 했지만, 너울성 파도와 조류 등 기상 상황을 이유로 육상 거치를 9월, 그리고 또다시 10월로 미뤘습니다. 그러다 결국 기존 방식을 포기하고 현재의 재킹바지선과 반잠수식 선박을 이용하는 공법으로 바꿨고, 인양 시점도 올해로 미뤘습니다. 이 과정에서 진상 규명을 위한 특별조사위원회 조사는 갖가지 방해와 비협조 속에 이렇다 할 결과물을 남기지 못한 채 끝났습니다. 가족을 바다에 두고 두 번의 겨울을 보낸 유가족의 가슴에 응어리가 지지 않을 수 있을까요.

남 진도군청과 팽목항에서 취재 중인 기자들 사이에서는 ‘사람 한 명 바뀌었다고 이렇게 달라지나’라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합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뒤 해수부 관계자들의 태도가 달라졌다는 뜻이지요. ‘파면’과 ‘태도’ 사이에 무슨 관계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지금의 태도를 유지한다면 불신의 응어리도 오래지 않아 풀리지 않을까요.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03-28 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