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구직활동 포기한 ‘청년 니트’ 60만명

[단독] 구직활동 포기한 ‘청년 니트’ 60만명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7-04-07 16:45
업데이트 2017-04-07 19: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노동연구원 ‘청년 니트 특징’ 보고서

이미지 확대
대졸 정규직 뽑는 ‘녹색’ 공고는 단 한 개
대졸 정규직 뽑는 ‘녹색’ 공고는 단 한 개 고용 한파가 겨울 추위만큼 매섭다. 실업자가 처음으로 100만명을 돌파하고 청년 실업률은 10퍼센트에 다다랐다. 그나마 드물게 나오는 채용은 계약직과 인턴 등 비정규직이 대부분으로 청년 구직자의 시름은 깊어만 가고 있다. 7일 서울의 한 대학교 취업 게시판에 정규직을 나타내는 녹색 색지의 채용 정보는 단 한 개만 붙어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사상 최악의 취업난이 이어지면서 구직활동을 포기한 청년이 60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5~29세 전체 청년층의 6.4%에 이르는 수준이다. 더 큰 문제는 이런 상황이 단기간에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7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최근 청년층 니트의 특징과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청년 니트’는 2008년 76만 2000명에서 지난해 93만 4000명으로 10년만에 17만명 이상 늘었다. 전체 15~29세 청년 중 니트가 차지하는 비율은 같은 기간 7.8%에서 9.9%로 높아졌다. ‘니트’(NEET)는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 학생도 아니고 취업자도 아니며 정규 교육기관이나 학원, 기관에 다니지 않으면서 가사나 육아도 하지 않는 미혼 15~29세 청년을 의미한다. 그나마 구직활동을 하는 ‘구직 니트’와 구직활동을 완전히 중단한 ‘비구직 니트’로 나뉜다.

●대졸 구직 포기자도 일상적 관찰

청년 니트 중에서 남성은 50만 9000명(10.8%), 여성은 42만 5000명(9.0%)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연령별로는 ‘20대 후반’이 47만 2000명으로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특히 대졸 이상 고학력 니트가 2008년 27만 5000명에서 지난해 41만 1000명으로 급증했다.

특히 청년 니트 가운데 취업의욕이 꺾여 구직활동을 완전히 중단한 비구직 니트가 급증하고 있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됐다. 일하지도, 교육받지도 않고 구직활동조차 하지 않는 비구직 니트는 60만 6000명으로 전체 청년의 6.4%를 차지했다. 남성이 33만 5000명, 여성이 27만 1000명이었다. 상대적으로 고학력인 대졸 비구직 니트도 23만 7000명에 이르렀다.

김종욱 노동연구원 연구원은 “지난해 대졸 이상 청년 인구 194만 8000명의 12.1%에 해당하는 규모로 고학력 청년 비구직 니트가 매우 일상적으로 관찰 가능한 수준임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문제는 이런 비구직 니트가 장기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6개월 이상 장기 비구직 니트 인원은 46만 8000명으로 전체 비구직 니트의 77.2%에 이르렀다.

고졸 이하 청년 비구직 니트는 인문계고 졸업자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 특성화고를 졸업한 비구직 니트는 2008년 10만 3000명으로 전체 고졸 비구직 니트의 53.5%를 차지했지만, 지난해는 인문계고를 졸업한 비구직 니트가 14만 1000명으로 59.7%나 됐다. 김 연구원은 “인문계 고졸 청년의 절대적인 숫자가 늘어났거나 상급학교로 진학하지 않으면 취업이 어려워 비경제활동화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며 “우려할 만한 부분은 인문계 고졸 이하 비구직 니트 31%가 특별한 활동없이 ‘쉬고 있다’고 응답했다는 점”이라고 지적했다.

●“부족한 능력 때문 아냐” 취업난 장기화 영향

구직 니트는 인문사회계열 대졸자 중심으로 늘어나고 있었다. 2008년 3만 1000명에 불과했던 인문사회계열 대졸자 구직 니트는 지난해 9만 4000명으로 3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전체 인문사회계열 졸업생의 11.5%였다. 2015년 기준으로 직장건강보험에 가입된 취업자가 39.3%에 불과한데다 1년 취업률이 68.2%에 그치는 등 인문사회계열의 노동시장 상황이 어렵기 때문에 구직 니트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 연구원은 “청년 니트들이 경제활동에 참여하고 있지 못한 원인이 부족한 능력 때문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며 “최고 수준의 대학진학률에 따라 고학력 노동 공급자들이 꾸준히 시장으로 공급되는 상황에서 장기화되는 경기 침체로 인해 이들이 고스란히 시장 밖에 적체되고 있는 모습이 관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