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조직 다잡고 ‘정치검찰’ 오명 씻어낼까…‘윤석열號’ 과제는

조직 다잡고 ‘정치검찰’ 오명 씻어낼까…‘윤석열號’ 과제는

입력 2017-05-22 16:44
업데이트 2017-05-22 16: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논란 사건 ‘재수사’ 요구 대처 관심…내부 분위기 쇄신·조직 안정도 관건

문재인 정부 초기 검찰 ‘파격 인사’의 주인공인 윤석열(57·사법연수원 23기) 서울중앙지검장이 22일 임기를 시작하면서 그의 행보에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검찰 전체를 대표하는 인물은 아니지만 200명이 넘는 정예 검사를 포함해 약 1천명이 근무하는 전국 최대 규모 검찰청의 수장으로 전격 승진 발탁되면서 상징성을 지닐 수밖에 없게 됐다.

권력에 굽히지 않는 ‘강골’ 검사로 존재감을 떨친 윤 지검장이 중앙지검을 맡으면서 ‘돌아온 칼잡이’라는 세간의 평가에 걸맞게 ‘정치검찰’이라는 비판을 떨치는 데 앞장설지가 우선 법조계 안팎에서 큰 관심을 끈다.

취임 초기 윤 지검장이 처한 상황은 다소 복잡하다.

먼저 청와대를 비롯한 정치권과 시민사회 등에서 빗발치는 ‘정윤회 문건’, 최순실 게이트 및 국정농단 사건,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 사건 등의 재수사 요구를 어떤 식으로든 매듭지어야 하는 처지다.

‘정윤회 문건’의 경우 수사 당시 검찰이 국정개입 의혹 등 내용이 아닌 문건 유출 자체에만 집중하면서 ‘비선 실세’ 최순실(61)씨의 존재를 드러내지 못했다는 비판이 이어졌다.

국정농단 사건은 이미 청와대에서 ‘추가 수사’ 방침이 직간접적으로 드러났다. 청와대는 19일 윤 지검장을 임명 사실을 밝히면서 “현재 중앙지검의 최대 현안인 최순실 게이트 추가 수사 및 관련 사건 공소유지를 원활하게 수행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도 11일 조국 민정수석 등 참모진과의 오찬에서 “국정농단 사건을 검찰에서 제대로 수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사실상 재수사 여지를 남겼다.

그러나 이미 검찰과 특검을 거쳐 여러 차례 수사가 진행됐고 당사자 조사 등을 통해 결론이 나 재판까지 진행 중인 사건을 논란이나 요구만으로 재수사에 들어가기엔 부담이 적지 않다.

자칫하면 또 다른 ‘하명 수사’ 내지는 ‘정치검찰’ 논란을 낳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결국, 일련의 과정에서 정치적 이해관계에 좌고우면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논란을 불식시킬 수 있느냐가 윤 지검장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그는 이날 첫 출근길에서 관련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

여기에 뒤숭숭한 조직 내부 분위기를 다잡는 것도 윤 지검장에게 던져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이른바 ‘돈 봉투 만찬’ 사건으로 이영렬(59·18기) 전 중앙지검장이 부산고검 차장검사로 강등되며 그 여파로 윤 지검장이 임명됐고, 당시 자리에 참석한 중앙지검 여러 간부가 법무부·대검찰청 합동감찰반의 조사 대상에 올라 있다.

감찰반은 지난주 참석자들의 경위서를 받았고, 조만간 참석자 대면조사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간부들이 수시로 감찰 조사를 위해 자리를 비울 수 있다는 얘기다.

게다가 윤 지검장을 보좌하는 1, 3차장검사는 연수원 선배이며, 2차장은 동기다. 이들과 ‘어색한 동거’를 하는 기간뿐만 아니라 향후 간부 인사에서 1∼3차장과 부장검사 등이 대거 바뀌면 조기에 조직을 안정시키고 업무에 매진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파격 인사’를 비롯해 새 정부가 시작부터 강력한 ‘검찰 개혁’ 드라이브를 걸면서 당분간 혼란이 불가피한 가운데 윤 지검장으로서는 조직을 안정시키는 게 급선무일 수밖에 없다는 전망이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