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글 모르면서 한국 연구 말도 안 돼… 한국어, 학술대회 공식어로 지정해야”

“한글 모르면서 한국 연구 말도 안 돼… 한국어, 학술대회 공식어로 지정해야”

입력 2017-10-11 22:50
업데이트 2017-10-12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초머 모세 헝가리 엘테대 교수, 한국학 발전방안 제시

“한국어를 구사하지 못하면서 한국학을 연구한다는 건 무기 없이 전쟁터에 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이미지 확대
초머 모세 헝가리 엘테대 한국학과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진짜 한국학자라면 한국어를 잘 해야 한다. 그게 기본”이라면서 “한국학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어를 공식 언어로 쓰게 하면 자연스럽게 한글을 배우려는 학자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초머 모세 헝가리 엘테대 한국학과 교수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진짜 한국학자라면 한국어를 잘 해야 한다. 그게 기본”이라면서 “한국학 국제학술대회에서 한국어를 공식 언어로 쓰게 하면 자연스럽게 한글을 배우려는 학자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최해국 선임기자 seaworld@seoul.co.kr
초머 모세(39) 헝가리 엘테(ELTE)대 한국학과 교수는 또박또박 우리말로 “한국을 연구하는 학자가 국제학술대회에서 영어로 주제 발표를 한다는 건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초머 교수는 지난 8월 24일부터 이틀간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최로 열린 ‘2017 한국학국제학술회의’ 참석차 한국을 방문했다.

초머 교수는 “한 민족의 문화와 역사를 연구하려면 기본적으로 그 나라의 언어로 소통할 줄 알아야 한다”면서 “이번 학술대회에서 다른 외국인 한국학자들 앞에서 보란듯이 한국어를 사용해 발표한 것도 그런 점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초머 교수는 한국학 학술대회가 한국이 아닌 해외에서 종종 열리는 것에 대해서도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그는 “미국 하와이, 펜실베이니아, 중국 베이징 등 해외에서 한국학 대회가 열리곤 했는데, 세계 곳곳에 있는 학자들을 배려한 것일 수도 있지만 한국학 대회의 본질은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비롯해 한국적인 모든 것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개최하는 게 원칙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머 교수는 세계 속 한국학의 현주소에 대해선 비교적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다. 그는 “유럽에서 일본학, 중국학에 밀려 변방의 학문으로 여겨졌던 한국학이 이제는 주류 학문으로 자리잡았다”면서 “한국 드라마 등 한류 열풍으로 생겨난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이 조금씩 학문에 대한 호기심으로 바뀌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헝가리어의 문법적 어순이 한국어와 비슷하다는 점도 한국어 열풍을 일으킨 요인으로 분석되고 있다”면서 “한국학은 중국학, 일본학에 비해 비교적 젊은 학문으로 인식돼 ‘신선하다’는 평가가 우세하다”고 덧붙였다. 실제 지난해 엘테대 동양학부 석사과정 지원자 가운데 한국학 전공은 17명, 중국학은 1명, 일본학은 한명도 없었다고 한다.

현재 엘테대 한국학과 학생은 석사 과정 포함해 약 160명에 이르며, 이르면 내년에는 박사 과정도 신설된다. 초머 교수는 “박사 과정이 생기면 자체적으로 후속 연구진을 배출할 수 있게 된다”면서 “2008년 한국학과가 세워진 지 10년 만의 결실이며 유럽 대학 내에서도 전례 없는 일”이라며 뿌듯해했다. 이어 “유럽에 진출해 있는 삼성전자, 삼성SDI, 한국타이어 등 한국 기업들이 한국학과 학생들을 선호하기 때문에 취업 걱정도 크게 줄었다”고 강조했다.

다만 초머 교수는 “취업을 위한 실용 한국어가 아닌 학문을 위한 수준 높은 한국어를 배울 수 있는 토대는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며 아쉬워했다. 한국어 회화용 교재만 난무하고 있다는 의미다. 그는 “한국학을 깊게 공부하려는 외국인 학생들이 제대로 된 한국어를 공부할 만한 교재가 현재 없는 상태”라면서 “한국의 대학들이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을 위해 수준 높은 한국어 교재 개발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7-10-12 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