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제사 말햄수다, 그늘에서 흐느끼는 4·3 피해자 많다는 걸”

“이제사 말햄수다, 그늘에서 흐느끼는 4·3 피해자 많다는 걸”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19-04-03 10:29
업데이트 2019-04-04 0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유장애인·여성 등 소외된 이들 주목할 것”
4·3 상흔 다룬 에세이 펴내기도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
허영선 제주4.3연구소장
“제주 4·3 때 입은 총상으로 몸이 딱딱하게 굳은 분들이 아직 연구소를 찾아 오십니다. 평생 장애를 안고 살았는데 후유장애 인정을 못 받은 분들도 많고요. 이제는 그늘에 가려진 피해자들 목소리에 좀 더 귀 기울이려 합니다.”

올해 개소 30주년을 맞는 제주 4·3연구소 허영선(62) 소장은 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지난 30년간 연구소가 4·3 진상규명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4·3 안에서 소외되고 배제된 사람들에게도 주목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피해를 말하지 못하고 희생자 명단에 이름조차 오르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며 “잊혀진 이름을 찾아주는 것이 정의를 제대로 실현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올해 71주년을 맞은 제주 4·3은 1만명 이상의 희생자를 낸 현대사의 가장 큰 비극 중 하나다. 그러나 수십년간 사건을 언급하는 것도,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도 금기시됐다. 연구소는 이런 분위기 속에서 어렵게 출범했다. ‘4·3’ 이라는 이름을 달고 사무실을 얻기도 어려웠던 시절을 지나 1988년 이후 서울 등 곳곳에서 추모행사가 열린 뒤 제주 출신 인사들을 중심으로 “빨리 증언자들의 목소리를 담아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4·3에 대한 기록도, 연구도 거의 없던 때였다. 연구소는 1989년 5월 10일 구술집 ‘이제사 말햄수다(이제서야 말 합니다)’를 발표하며 출범했다.

30년간 연구소는 제주 4·3의 묻혀진 진실을 밝히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과정은 험난했지만 꾸준했다. 증언채록, 국내 외 사료발굴, 유물조사, 유적지 기행 등이 이어졌고 다랑쉬굴 유해 발굴, 제주국제공항 집단 매장지 유해발굴 등 굵직한 성과도 냈다. 주민 증언을 듣고 모으는 작업도 해왔다. 2002년부터 주최하는 ‘본풀이 증언대회’ 가 그 중 하나다. 지난달 29일 제주도 문예회관에서 열린 18회 행사에서도 장애 인정을 받지 못한 할머니들과 어릴적 희생 된 아버지가 희생자로 인정받지 못한 당사자도 나와 묻어뒀던 상처를 꺼냈다.

허 소장은 “4·3의 역사는 진행형”이라고 강조한다. 71년이 지났지만 생존자들이 여전히 남아 트라우마를 호소하고, 규명되지 않은 피해도 많아서다. 허 소장은 “역사는 고백과 증언으로 밝혀지는 것”이라며 “명예 회복이 필요한 수형인들, 희생자임에도 신고조차 하지 못한 사람들, 강제결혼이나 성폭력 피해를 숨겼어야 했던 여성들 등 소리내지 못한 고통을 꺼내려 노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제주 4·3 71주년
제주 4·3 71주년 71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이 열린 3일 오전 유가족이 제주시 봉개동 4·3평화공원 내 행불인 표석을 찾아 희생자의 넋을 위로하고 있다. 2019.4.3 연합뉴스
허 소장은 상처를 보듬기에 아직 국가의 응답은 미흡하다고 지적한다. 문재인 정부가 제주 4·3을 국정운영 100대 과제에 포함시켜 해결 의지를 보이고 국방부도 첫 유감 표명을 하는 등 진척이 있었지만, 피해자 보상 등의 내용을 담은 4·3 특별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1년 넘게 못 넘고 있다. 허 소장은 “아직 트라우마 센터도 제대로 없는 게 현실”이라며 “특별법이 통과되면 미해결 과제들을 상당부분 해결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시인이기도 한 허 소장은 최근 4·3이 남긴 상흔과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조명한 에세이 ‘당신은 설워할 봄이라도 있었겠지만’ 을 펴냈다. 그는 “4·3은 결국 인간과 삶을 돌아보게 만드는 주제”라며 “4·3의 비극을 늘 기억하고 인권, 평화, 인간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마음으로 책을 썼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소는 진상규명 운동 및 연구 기록과 성과를 모아 연구소 30년사를 편찬하고 4·3 역사기행 등 다양한 기념 행사를 열 예정이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