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베트남서 버려진 ‘투명인간’ 아이들… 대준이 존재 증명은 만료된 한국 여권뿐

한국·베트남서 버려진 ‘투명인간’ 아이들… 대준이 존재 증명은 만료된 한국 여권뿐

이하영 기자
입력 2019-09-29 22:36
업데이트 2019-09-30 0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개 국제결혼의 또 다른 희생양

이미지 확대
한국에서 결혼이주민으로 살다 베트남으로 귀환한 여성 뜨티무어이(왼쪽)가 지난 8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 도중 아들 홍대준군의 머리를 쓰다듬고 있다. 부모에게 등을 떠밀려 2006년 무어이와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은 대준군이 태어났는데도 모자를 무관심하게 대했다. 그러다 모자가 2009년 베트남 친정을 방문한 직후 연락을 끊었다. 별안간 아버지와 연이 끊긴 채 베트남에 버려진 대준군은 관련 서류를 마련할 수 없어 현지에서 출생신고도 하지 못한 채 불안정한 체류를 이어 가고 있다. 허우장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한국에서 결혼이주민으로 살다 베트남으로 귀환한 여성 뜨티무어이(왼쪽)가 지난 8월 서울신문과의 인터뷰 도중 아들 홍대준군의 머리를 쓰다듬고 있다. 부모에게 등을 떠밀려 2006년 무어이와 국제결혼한 한국인 남편은 대준군이 태어났는데도 모자를 무관심하게 대했다. 그러다 모자가 2009년 베트남 친정을 방문한 직후 연락을 끊었다. 별안간 아버지와 연이 끊긴 채 베트남에 버려진 대준군은 관련 서류를 마련할 수 없어 현지에서 출생신고도 하지 못한 채 불안정한 체류를 이어 가고 있다.
허우장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고국 잃은 아이들.’

베트남 현지 언론 뚜오이쩨는 5년 전 베트남에서 무등록 외국인 신분으로 사는 국제결혼 자녀들의 실태를 다루며 이런 표현을 썼다.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들(한·베 아동)이었다. 남편과 시댁의 폭력을 견디다 못한 베트남 여성들은 자녀를 데리고 쫓기듯 고향으로 돌아왔다. 아이들의 국적은 한국이지만 이를 증명할 서류를 가지고 있는 경우는 드물다. 실거주지인 베트남에서조차 이들은 무등록 외국인으로 숨죽인 채 살고 있다. 어느 국가에서도 온전히 존재하지 않는 ‘투명인간’ 아이들은 어른의 필요로 만들어진 중개 국제결혼의 희생양이다.

뚜오이쩨는 2014년 8월 허우장시에 사는 홍대준(13)군의 사연을 소개했다. 베트남 국적이 없어 8살(베트남 취학 연령은 6세)이 될 때까지 학교에 가지 못한 채 방치됐다는 이야기였다. 엄마 뜨티무어이(32)는 한국인 남성과의 결혼 생활 중 아픈 친정아버지를 잠깐 보기 위해 베트남에 들어왔다가 강제로 ‘귀환여성’이 돼 버렸다. 귀국편 비행기표를 보내 주기로 한 남편과 시댁이 모두 연락 두절됐기 때문이다. 베트남에서 학교에 다니려면 현지에서 출생신고를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아버지의 동의서와 기본적인 증명서들이 필요하지만 갑작스레 버려진 모자에게 그런 서류는 없었다. 아이 양육비를 벌어야 하는 엄마는 도심에 나가 일자리를 구했고 대준군은 홀로 외가에 맡겨졌다.
이미지 확대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홍대준군은 한국인이지만 이를 증명할 서류는 2015년 1월 15일자로 만료돼 버린 여권이 유일하다. 지난 8월 서울신문과 만난 대준군이 한국 여권을 들고 있다.  허우장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한국인 아버지와 베트남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홍대준군은 한국인이지만 이를 증명할 서류는 2015년 1월 15일자로 만료돼 버린 여권이 유일하다. 지난 8월 서울신문과 만난 대준군이 한국 여권을 들고 있다.
허우장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그로부터 꼬박 5년이 지난 올해 8월 서울신문은 대준군을 찾아갔다. 허우장시 외곽 마을에서 만난 대준군에게는 그동안 몇 가지 변화가 있었다. 언론 보도 후 껀터·허우장 지역에서는 지방정부 지침을 통해 학교장 재량으로 한국 국적의 무등록 아이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도록 했다. 학교에서는 알아주는 모범생이다. 3학기 연속으로 ‘성적우수상’을 타기도 했다. 가장 잘하는 과목이 무엇이냐고 묻자 “국어(베트남어)를 제일 잘한다”고 답했다. 하지만 대준군과 어머니는 여전히 살얼음판 위를 걷듯 불안하다. 엄마 무어이는 “학교에 정식으로 다니는 것은 아니라서 졸업장이 나올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현지 학교에서는 한·베 아동들이 공식 문서 없이 입학하면 일반 학생기록부를 작성하지 않고 별도로 관리한다. 또 대준군은 법적으로 베트남에 살 근거도 없다. 비자도 진작 만료됐다. 불법체류 상태로 사는 셈이다. 그의 존재를 증명할 유일한 서류는 2015년 1월 15일자로 만료돼 버린 한국 여권이 유일하다.
이미지 확대
5년 전인 2014년 8월 8살이 되도록 학교에도 가지 못한 대준군의 안타까운 사연을 전한 베트남 일간지 뚜오이쩨의 기사.
5년 전인 2014년 8월 8살이 되도록 학교에도 가지 못한 대준군의 안타까운 사연을 전한 베트남 일간지 뚜오이쩨의 기사.
그럼에도 대준군은 현지 한·베 아이들 가운데 운이 좋은 편이다. 베트남에 살고 있는 무등록 한·베 아동의 수는 집계조차 되지 않는다. 껀터시에서 2014년 가정방문 조사를 통해 집계한 160여명이 유일한 ‘힌트’다. 현지 비정부기구(NGO) 활동가들은 “당시 집계 목록에서 NGO가 파악하고 있던 아이들의 상당수가 빠지는 등 통계가 완전치 못했다”고 지적했다. 껀터 지역의 한·베 아이들만 해도 수백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규모조차 알 수 없는 이 아이들은 기초적 복지와 의료권에서 소외돼 있다. 유엔인권정책센터 껀터사무소가 지난해 베트남 거주 귀환여성과 한·베 아동 301가구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아동의 55.8%가 미등록 체류 상태였다. 귀환여성 가운데 42.7%가 자녀를 뒀고 이 중 87.4%가 자녀와 함께 귀환했다. 한국 통계청에 따르면 2000년 이후 한·베 가족 해체 자녀는 최소 3858명이다. 전체 국제결혼 이혼 부부 자녀의 수는 최소 1만 2281명으로 조사됐다.

허우장·껀터 이하영 기자 hiyoung@seoul.co.kr

2019-09-30 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