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소품 40만점’ 보유한 영화장식센터 결국 해체

[단독] ‘소품 40만점’ 보유한 영화장식센터 결국 해체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0-03-19 22:46
업데이트 2020-03-20 02: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남양주촬영소 부산 이전에 갈 곳 잃어

기생충 등 거의 모든 한국 영화에 참여
다른 업체로 넘어가거나 일부는 폐기
서울영화장식센터 연합뉴스
서울영화장식센터
연합뉴스
한국 영화와 드라마에 쓰인 소품 40만점을 보유한 서울영화장식센터(센터)가 새 보금자리를 찾지 못해 결국 해체됐다.

19일 영화진흥위원회(영진위) 등에 따르면 경기 남양주종합촬영소에 입주했던 센터는 보관 중이던 소품을 최근 모두 처분하고 부지를 비웠다. 영진위는 2013년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2016년 부영그룹에 촬영소 부지와 시설을 매각했다.

부영은 촬영소를 운영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고 지난 1월 영진위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지만, 센터는 유지할 계획이 없다고 밝히면서 시설을 비워 줘야 할 상황이 됐다. 부영 측은 올해 5월쯤 촬영소 운영을 재개한다. 영진위 관계자는 “소품실은 스튜디오와 달리 영진위가 아닌 개인이 경영해 왔기 때문에 촬영소 유지 여부와는 별개”라고 설명했다.

센터는 1963년부터 영화 200여편에 소품 감독으로 참여한 김호길 대표가 운영해 왔다. 영화 ‘기생충’, ‘광해, 왕이 된 남자’, ‘국제시장’ 등 센터의 소품이 쓰이지 않은 작품이 없을 정도여서 ‘한국 영화 소품의 산실’로 불렸다. 시대극 등 드라마에도 보유품을 대여했다. 현재 소품들은 다른 업체들에 의해 수거되거나 일부 폐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입주 계약이 만료된 뒤 센터는 지방자치단체, 몇몇 기업과 이전 문제를 논의했지만 물품이 워낙 많고 넓은 땅이 필요해 어려움을 겪었다. 남양주촬영소 내 부지는 1600평(5290㎡) 규모로 주말이면 관광객 2000여명이 찾았다. 영진위는 “센터를 상대로 제기했던 명도소송은 취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전찬일 영화평론가는 “소품들은 개인 소유이긴 하지만 한국 영화사를 간직한 문화유산”이라며 “기업과 당국 모두 이런 유산을 공적인 자산으로 보존해야 한다는 개념과 사회적 풍토가 부족하다”고 아쉬워했다.

김지예 기자 jiye@seoul.co.kr
2020-03-20 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