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추가시험 특혜논란… 국시원장 “의대생들, 성인답게 사과해야” 

추가시험 특혜논란… 국시원장 “의대생들, 성인답게 사과해야”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1-01-25 12:00
업데이트 2021-01-25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시험 거부했던 의대생들 거의 원서 내

이미지 확대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첫날인 8일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으로 의사 국시 응시생이 국시원 관계자들의 보호를 받으며 들어가고 있다. 2020.9.8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2021년도 제85회 의사국가시험 실기시험 첫날인 8일 서울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으로 의사 국시 응시생이 국시원 관계자들의 보호를 받으며 들어가고 있다. 2020.9.8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에 반발해 국가시험을 집단 거부한 의대생들에 대한 추가 시험이 23일 시작됐다. 정부가 시험일정을 두 번이나 연기해줬음에도 결국 불응했던 의대생들에 대해 여론은 비판적이었다. 그럼에도 정부는 결국 구제하는 쪽을 택했고, 시험을 거부했던 의대생들은 거의 원서를 냈다.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의 이윤성 원장은 ‘시험을 집단 거부한 의대생의 사과가 필요하다’는 주장에 개인 의견을 전제로 동의하면서 “성인답게 사과하고 또 용서를 구하는 그런 표현을 하고 자기의 본연의 업무에 돌아설 수 있으면 성숙된 사회가 아닐까”라고 말했다.

이윤성 원장은 2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지난해 국시 응시를 거부한 의대생 대부분이 원서를 내 시험을 치르고 있다며 “3월 초까지는 의사를 배출해야 돼서 시험 횟수를 늘리고는 있지만 다른 시험 시스템은 똑같이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일정상 시간이 없다는 이유 때문에 조정됐을 뿐 다른 부분의 변화는 없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시험 보기 90일 전에 고시를 해야 한다는 의료법 시행령을 개정한 이유를 두고 “(국시를 보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간이 급해서 특별한 경우에는 보건복지부장관이 그 유예기간 90일을 축소할 수 있다는 시행령 개정을 거쳐서 짧은 시간 안에 시험을 실시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의사 국가시험을 하루 앞둔 지난 7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 모습. 2020.9.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의사 국가시험을 하루 앞둔 지난 7일 서울 광진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국시원) 모습. 2020.9.7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시험을 거부한 의대생에 재응시 기회를 주는 것이 ‘특혜’로 비춰지는 것에 이 원장은 “국시원에서 답할 문제는 아니다”면서도 “논란은 있을 수 있는데, 현실적으로 배출돼야 되는 의사가 매년 배출되지 않으면 겪어야 될 우리 사회, 또 의료계에 어려움이 있다”며 “그걸 좀 고려해 주십사 하는 게 국시원의 생각”이라고 밝혔다.

다만 그는 개인 의견을 전제로 의대생의 집단 거부가 “실수 또는 잘못”이라면서 “성인답게 사과하고 또 용서를 구하는 그런 표현을 하고 자기의 본연의 업무에 돌아설 수 있으면 성숙된 사회가 아닐까”라고 밝혔다. 또 응시생 당사자들이 에둘러서 표현했지만 직접적으로 사과한 적은 없다며 “아쉽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의대생의 시험 거부 자체는 사실은 남에게 피해 주기보다는 약간 자해적인 성격이 있어서 같이 평가할 수는 없지만, 어찌 됐든 의사나 이런 사람들이 파업하는 것은 그거는 애초부터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정책 당국과 의사들이 미리 소통하고 문제가 있으면 해결할 방안을 받아야지 아주 극단적인 의사 파업은 제 생각에는 있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