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델타 변이’ 국내 190건 확인…“거리두기 개편 그대로 진행”(종합)

‘델타 변이’ 국내 190건 확인…“거리두기 개편 그대로 진행”(종합)

최선을 기자
입력 2021-06-24 15:13
업데이트 2021-06-24 15: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11일 오후 서울 난지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포근한 봄 날씨를 만끽하고 있다. 2021.4.11 뉴스1
11일 오후 서울 난지한강공원에서 시민들이 포근한 봄 날씨를 만끽하고 있다. 2021.4.11 뉴스1
정은경 “국내 유입의 초기 단계”
해외접종자 격리면제 등 다음달 시행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확산하는 가운데 방역당국은 국내의 경우 ‘유입 초기’ 단계라고 진단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24일 “우리나라는 현재까지 델타 변이가 190건이 확인됐고 지역감염 사례가 3건 보고돼 유입의 초기 단계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델타 변이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해외유입 차단과 국내확산 방지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방대본에 따르면 지난주 러시아 모스크바에선 신규 확진자의 90%가 델타 변이 감염자로 확인됐고, 영국도 신규 확진자의 99%가 델타 변이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에서는 2주마다 델타 변이 감염자가 배로 증가하면서 감염자 비중이 20%까지 오른 상황이다.

델타 변이는 먼저 유행이 시작된 알파 변이처럼 전파력이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해외연구 결과를 보면 델타 변이는 기존 바이러스는 물론이고 알파 변이보다도 전파력이 강해 실내에서는 60%, 실외에서는 40% 정도 전파 속도가 빠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가운데 다음달 사회적 거리두기가 개편되면서 국내에서도 델타 변이가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대해 정부는 이미 발표한 거리두기 방안을 그대로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관련 질의에 “사회적 거리두기 체계 개편을 계속 연기하면서 고도의 사회·경제적 비용과 중산층, 자영업·소상공인들의 피해가 누적되는 상황을 계속 이어나갈 필요성은 떨어진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손 반장은 델타 변이의 확산 우려와 관련해 “감염률은 기존 변이보다 좀 더 높지만 예방접종 효과는 알파 변이 등 다른 변이들과 유사하다는 게 현재까지 분석된 내용”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는 백신 접종자에 대한 인센티브 확대 적용과 해외 접종자 격리면제 조치도 계획대로 시행한다고 밝혔다.

윤태호 중수본 방역총괄반장은 접종 인센티브를 다시 조정할지와 관련해 “아직 이 부분에 대해 검토하는 단계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다음달부터 해외에서 백신 접종을 완료한 사람 중 중요 사업이나 학술·공익적 목적, 직계가족 방문 등 인도적 목적으로 입국할 경우에는 국내 접종 완료자와 마찬가지로 격리면제 혜택을 준다고 발표했다.

격리면제 대상 세계보건기구(WHO) 승인 백신에는 화이자, 얀센, 모더나, 아스트라제네카(AZ), 코비쉴드(AZ-인도혈청연구소)와 함께 중국산 시노팜과 시노백도 포함된다. 하지만 시노팜, 시노백 백신을 접종한 국가에서는 최근 확진자가 급증하는 추세다.

윤 반장은 시노팜, 시노백을 접종한 사람은 격리면제 대상에서 제외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질의에는 “두 백신을 접종한 곳에서만 확진자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백신을 접종한 곳에서도 확진자 증가하고 있다”며 “그런 상황을 전반적으로 평가해야 할 것”이라고 답했다.

델타 변이가 유행하는 인도네시아를 격리 면제 제외 국가에 추가해야 한다는 일각의 지적에는 “문제 제기가 있다고 해서 격리면제에서 제외하는 것은 정책 신뢰성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