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성편견 심화 1위…세계인 25% “아내 때려도 괜찮아”

한국, 성편견 심화 1위…세계인 25% “아내 때려도 괜찮아”

윤예림, 신진호 기자
입력 2023-06-13 14:59
업데이트 2023-06-13 15: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편견 비율 男 93.08%·女 86.83%
세계인 절반 “정치지도자로 남성 우월”
‘남편이 아내 때려도 정당’ 25% 차지

이미지 확대
서울 송파구 장지천 벚꽃길을 찾은 시민들(기사와 관련 없음). 2023.3.26. 도준석 기자
서울 송파구 장지천 벚꽃길을 찾은 시민들(기사와 관련 없음).
2023.3.26. 도준석 기자
한국의 성평등에 대한 인식 수준이 후퇴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젠더에 대한 사회적 규범을 변화시키는 데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12일(현지시간) 유엔 산하 유엔개발계획(UNDP)이 발간한 젠더사회규범지수(GSNI)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별도 조사대상 37개국 가운데 성평등에 반하는 편견이 가장 많이 심해졌다.

어떻게 조사가 이루어졌나

GSNI는 ▲정치 ▲교육 ▲경제 ▲신체결정권 등 4개 측면에서 남성이 우월하다는 편견이 어느 정도로 고착화돼 있는지를 인구 비율로 수치화한 것이다. 수치가 높을수록 남성이 우월하다고 생각하는 인구 비율이 높다는 것을 가리킨다.

GSNI는 세계가치관조사(WVS)가 집계한 지표와 데이터를 조합해 산출된다. 예를 들어 정치능력에 대한 GSNI는 ‘민주시민으로서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 ‘여성보다 남성이 정치리더로 적합하다’ 등의 설문에 대한 WV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다.

교육은 ‘여성보다 남성이 대학에 진학해야 한다’, 경제는 ‘여성보다 남성이 경영을 더 잘한다’, 신체결정권은 ‘출산에 있어 여성보다 남성의 결정이 우선한다’ 등에 대한 설문과 데이터를 지표로 한다.

UNDP는 세계인구의 48%에 해당하는 이들 나라 주민을 대상으로 가치관을 설문 조사해 2010~2014년, 2017~2022년 두 시기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인식 수준을 평가했다.

한국, 최근 5년간 성평등 인식 급격 후퇴

한국은 이 기간에 남성과 여성 모두 성평등에 대한 인식 수준이 급격히 후퇴한 것으로 조사됐다. 칠레, 이라크, 러시아, 말레이시아, 키르기스스탄, 필리핀, 콜롬비아, 멕시코 등도 퇴보했으나 한국보다 그 폭은 작았다.

반면 독일, 뉴질랜드, 싱가포르, 일본 등은 성평등 인식이 큰 폭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 최소 1개 항목 이상 성편견이 있는 한국인의 비율은 남성 93.08%, 여성 86.83%였다. 성에 대한 편견이 아예 없는 한국인의 비율은 10.12%에 머물러 스웨덴(68.24%), 뉴질랜드(65.56%) 등 상위권 국가와 큰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경우 편견을 지닌 이들의 비율이 부문별로 주목할 차이를 보였다. 정치적 편견을 가진 사람의 비율은 72.85%였고 경제 부문은 55.28%, 교육 부문은 33.73%, 신체조건 부문은 56.20%로 나타났다.

전 세계 25%는 “남편이 아내 때려도 된다”

전 세계 76개국을 살펴보면 성평등을 향한 인식 개선은 아직 전반적으로 멀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세계인의 절반 가량은 대통령이나 총리 등 정치 지도자로 여성보다 남성이 우월하다고 생각했다. 기업 임원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낫다고 생각하는 이들도 40%를 넘었다.

더 극단적인 설문 항목을 살펴보면 ‘남편이 아내를 때려도 정당하다’고 생각하는 이들이 2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드로 콘세이상 UNDP 인적개발보고실 실장은 “여성권을 해치는 사회적 규범은 사회에 폭넓게 해롭다”면서 “그 때문에 인적 개발의 확대가 지체된다”고 지적했다.
이미지 확대
성평등에 반하는 편견이 가장 심화한 한국. UNDP 보고서 캡처.
성평등에 반하는 편견이 가장 심화한 한국.
UNDP 보고서 캡처.
긍정적인 조사 결과도 있었다.

성편견이 전혀 없는 국민의 비율이 높아진 국가는 조사대상 38개국 중 27개국에 달했다. UNDP는 젠더에 대한 사회적 규범을 바꾸는 데 정부의 역할이 핵심적이라고 지적했다. 육아휴직이나 노동시장 개혁 등으로 영유아 돌봄 책임이나 여성의 가사 활동에 대한 관념을 바꿀 수 있다는 설명이다.

라켈 라구나스 UNDP 젠더팀 국장은 “급여를 받지 않는 일의 경제적 가치를 인정하는 게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돌봄을 둘러싼 젠더규범에 이의를 제기할 매우 효과적 방법”이라면서 “여성에 대한 성편견이 매우 높은 국가를 보면 여성이 급여를 받지 않는 돌봄에 6배나 많은 시간을 쓰는 것으로 추산된다”고 덧붙였다.
윤예림 인턴기자·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