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월호서 철근 또 발견됐지만…침몰 원인 밝힐 ‘실제 선적량’ 알기 어려워

세월호서 철근 또 발견됐지만…침몰 원인 밝힐 ‘실제 선적량’ 알기 어려워

오세진 기자
입력 2017-08-27 20:43
업데이트 2017-08-27 2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선체 안에서 건설 현장용 철근이 지난 26일에 이어 27일에도 발견됐다. 지난 6일 이래로 현재까지 발견된 철근의 무게는 총 120t에 달한다. 정부는 다음 달까지 세월호 안에 있는 철근을 모두 꺼낸다는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세월호 선체 내부 수색 과정에서 나온 잔해물들이 전남 목포신항에 쌓여 있는 모습. 2017. 8. 24.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세월호 선체 내부 수색 과정에서 나온 잔해물들이 전남 목포신항에 쌓여 있는 모습. 2017. 8. 24.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정부 합동 세월호 현장수습본부(현장수습본부)는 크레인을 동원해 세월호 화물칸 구역(D-1)에서 철근 2t을 선체 밖으로 반출했다고 이날 밝혔다. 전날에는 14.8t 무게의 철근을 밖으로 꺼냈다.

지난 6일부터 이날까지 크레인을 통해 반출한 철근의 무게는 총 129t에 달한다.

정부는 세월호 안에 총 426t의 철근이 실려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426t은 성인(60㎏ 기준) 7100명에 해당하는 무게다. 이철호 현장수습본부 관계자는 “다음 달까지 철근을 모두 꺼낼 것”이라고 말했다고 이데일리가 이날 전했다.

지금까지 세월호가 침몰한 요인으로 크게 세 가지가 꼽히고 있다. 조타기 고장으로 인한 선원들의 조타 실수, 과적이나 평형수 부족으로 인한 복원력 상실, 고박 부족으로 인한 화물의 이동이 그 세 가지다.

지금까지 세월호 안에서 발견된 철근은 선체에 남아 있는 화물들과 함께 세월호 선체의 복원력을 계산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철근은 제주 해군기지에서 사용하기 위해 실린 것으로 파악됐다. 세월호 특별조사위원회는 지난해 6월 보고서를 통해 “출항할 때 세월호에 실린 화물은 총 2215t으로, 최대 987t의 화물 적재를 승인받은 세월호에 1228t의 화물이 더 실린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410t의 철근이 실려 있었으며, 이 중 일부가 제주 해군기지로 가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철근의 실제 선적량을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은 “선체 내부는 상관없지만 침몰 당시 선체 2층 선수 갑판에 있던 트럭 5대분의 철근과 기둥에 주로 쓰인 ‘I’자 형태의 쇠기둥이 기울어지면서 바다에 빠졌는데 인양하기가 어려울 것 같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미수습자 수색 작업도 계속 이어가고 있다. 현장수습본부는 지난 16일 정밀 수중수색에 나선 뒤 현재까지 침몰 해역에서 사람뼈 6점을 발견했다. 지난 17일 1점, 20일 3점, 22일 2점의 유해가 확인됐다.

정부는 지난 24일 수중수색 과정에서 찾은 뼛조각 2점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DNA 검사를 의뢰했다. 신원은 다음달 확인될 전망이다.

현재까지 단원고 교사 고창석씨, 일반인 이영숙씨, 단원고 학생 허다윤·조은화양 등 4명의 유해만 국과수에서 신원이 확인됐다. 단원고 학생 남현철·박영인군, 단원고 교사 양승진씨, 일반인 권혁규·권재근씨 등 다른 미수습자 5명의 유해는 아직 발견되지 못했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16일 세월호 피해자 유가족 200여명을 청와대로 초청해 “선체 수색이 많이 진행됐는데도 아직도 다섯 분이 소식이 없어서 정부도 애가 탄다”면서 “아직 돌아오지 못한 미수습자들이 모두 가족 품으로 돌아올 수 있기를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 정부는 가족들의 여한이 없도록 마지막 한 분을 찾아낼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