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자유학기제 ‘학원학기제’ 안 되려면

[김기중 기자의 교육 talk] 자유학기제 ‘학원학기제’ 안 되려면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16-02-01 18:22
업데이트 2016-02-02 0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지난달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박경실 학원총연합회 회장을 만났습니다. 이 부총리는 이 자리에서 “자유학기제의 취지가 현장에서 살아나려면 학원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박 회장은 이에 “자유학기제에 공감하고 적극 협력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 부총리가 박 회장을 만난 것은 올해부터 전국 모든 중학교에서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기 때문입니다. 자유학기제는 중학교 한 학기 동안 지필고사에 대한 부담 없이 학생들이 체험활동에 집중하도록 하는 교육입니다. 학생들은 오전에는 학교에서 교과 공부를 하고, 오후에는 진로체험 등 비(非)교과 공부에 매진합니다. 비교과 시간이 모두 170시간쯤 됩니다.

서울시교육청은 여기에서 한발 더 나아갔습니다. 중학교 1학년 과정에 ‘집중학기’ 외에 ‘탐색학기’를 별도로 두기로 했습니다. 집중학기에는 시험을 전혀 안 보고, 탐색학기에만 기말고사를 1회 봅니다. 쉽게 말해 서울의 중1 학생들은 1년 동안 기말고사를 단 한 번만 본다는 이야기입니다.

학원들이 이를 그냥 보고 넘어갈 리 없습니다. 자유학기제 시행을 앞두고 방학을 맞아 적극적인 학생 모집에 나섰습니다. 일부 학원은 ‘남들보다 앞서갈 수 있는 절호의 기회’, ‘자유학기제, 정말 자유로워도 될까?’ 등의 공격적인 문구를 내세웠습니다. 자유학기제를 하면서 남는 시간에 집중적으로 교과 공부를 시키라는 것입니다. 이 부총리가 다급하게 학원 관계자들을 만난 이유입니다. 제도가 시행도 되기 전에 부작용부터 나타날 조짐을 보이자 협조를 요청한 것이지요.

최근 자유학기제를 두고 ‘학원학기제’라는 말이 공공연히 나오고 있습니다. 교과 공부를 학원에서 보충해 주는 상황을 빗댄 것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습니다. 학원들이 교과가 아닌 비교과 영역에까지 눈을 돌리면 더 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최근 대입에서는 비교과가 점점 강조되고 있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 등 비교과를 주로 반영하는 ‘수시모집’과 교과를 주로 따지는 ‘정시모집’의 비율이 10년 전에는 각각 30%와 70%였는데, 최근에는 70%와 30%로 완전히 역전됐습니다. 이에 따른 부작용도 생겨났습니다. 학원들이 비교과를 관리해 주겠다고 나선 것입니다. 대입에서 자기소개서를 그럴듯하게 써주고 고액을 받거나, 고1부터 비교과 관리를 잘해야 한다고 맞춤 상담을 해주는 이른바 ‘컨설팅 열풍’도 불고 있습니다.

교육부는 최근 “자유학기제가 외국어고나 과학고 등 특목고 입시에 반영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올해 중1 학생이 중3이 되는 2년 뒤 이 방안이 적용될 가능성이 큽니다. 쉽게 말해 특목고에 들어가려면 자유학기제도 계획적으로 잘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지금까지는 특목고에 들어가려면 교과 공부만 열심히 하면 됐지만, 이젠 비교과도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자유학기제가 특목고 입시에 반영될 때 학원들이 여기에 어떻게 대처하느냐가 자유학기제의 명암을 가를 것으로 보입니다. 자유학기제가 정말 학원학기제로 변질될지, 제 길을 찾아 잘 뻗어 갈지가 궁금합니다. 부작용을 막기 위해 교육당국과 학교의 노력이 더 필요한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gjkim@seoul.co.kr
2016-02-02 24면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