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국내 ASF 바이러스, 북한 거쳐 접경지역 유입

국내 ASF 바이러스, 북한 거쳐 접경지역 유입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5-07 14:25
업데이트 2020-05-07 14: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동유럽형으로 지난해 10월 3일 이후 604개체까지 급증

경기 북부와 강원 일부 지역에서 집단 발생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동유럽에서 발생한 바이러스(유전형Ⅱ)로 확인됐다. 러시아·중국에서 유행한 바이러스가 북한을 거쳐 비무장지대(DMZ) 인근 접경지역으로 전파된 것으로 추정된다.
국내 야생멧돼지 유입 추정 경로. 환경부 제공
국내 야생멧돼지 유입 추정 경로. 환경부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7일 국내 멧돼지 ASF 발생 원인과 전파 경로 등을 분석한 중간 역학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 10월 3일 경기 연천 DMZ에서 첫 발생 후 ASF 감염 멧돼지가 604개체에 달한다. 올해 강원 화천·양구·고성, 경기 포천에서 양성이 확인돼 발생지역이 7곳으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경기 연천 238개체, 파주 97개체, 포천 2개체, 강원 철원 29개체, 화천 232개체, 양구 3개체, 고성 3개체 등이다.

연구진은 국내 ASF 바이러스 유전형이 2007년 조지아공화국에서 발생해 러시아·중국 등에서 유행한 바이러스와 동일한 것으로 확인했다. 북한의 ASF 바이러스 유전형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난해 5월 30일 압록강 부근 자강도 우시군 양돈농장에서 ASF 발생이 세계동물보건기구(OIE)에 보고돼 북한이 전파의 중간다리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이를 반영하듯 국내 초기 발생지점이 남방한계선 1㎞ 내에 집중됐다.

국내 유입 후에는 감염 멧돼지 또는 폐사체 접촉을 통해 확산됐다. 다만 기존 발생 지역에서 7∼33㎞ 떨어진 화천 풍산과 연천 부곡, 양구 수인 등 일부 사례는 수렵이나 사람·차량 이동 등 인위적인 요인이 전파 원인으로 추정됐다.

멧돼지 이동을 막기 위한 울타리가 ASF 확산을 차단 또는 지연하는 효과가 컸다. 4월 30일까지 검출된 585건 중 99.5%인 582건이 접경지역을 동서로 가로지르는 광역 울타리 내에서 검출됐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