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금강·영산강 녹조, 보 개방 후 95% 감소·멸종위기종 귀환

금강·영산강 녹조, 보 개방 후 95% 감소·멸종위기종 귀환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1-04-13 15:01
업데이트 2021-04-13 1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개방 11개 보에 대한 3년 모니터링 결과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이 짧아지고 물살이 빨라져
올해 한강, 낙동강 보 개방 계획 마련해 모니터링

금강·영산강의 보(洑) 개방 시간이 길어지자 녹조 발생이 95%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흰수마자·황새 등 사라졌던 멸종위기종의 귀환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12월 영산강 죽산보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 1급 황새. 환경부 제공
지난해 12월 영산강 죽산보에서 확인된 멸종위기종 1급 황새. 환경부 제공
13일 환경부가 공개한 금강·영산강·낙동강 등에서 개방한 11개 보에 대해 2017년 6월부터 2020년 하반기까지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르면 생태계 건강성 등 물 환경 지표가 개선됐다. 완전 개방 일수는 금강 세종보(1072일)가 가장 길고 낙동강 구미보와 달성보가 7일로 가장 짧다.

개방 폭이 컸던 금강·영산강에서는 여름철 녹조(유해남조류)가 크게 감소했다. 예년(2013∼2017년)과 기상 여건이 유사했던 2019년 녹조가 95% 이상 감소했다.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이 최대 88% 짧아지고 물살이 최대 813% 빨라지는 등 물흐름이 개선된 영향이다. 보 개방 후 하천 저층의 용존산소가 2㎎/ℓ 이하로 수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저빈층산소’ 발생 및 빈도가 감소했다.

금강·영산강 보에서는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이 증가하고 유기물질 함량도 줄었다. 이는 자정작용이 활발해지고 수중 용존산소량이 증가해 수질·수생태계 개선 효과를 반영한다.

보 개방 후 물흐름이 빨라지고 깨끗한 모래톱, 자갈밭 등이 조성되는 등 하천 환경이 변하면서 수생태계 건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물살이 빠르고 깨끗한 모래가 깔린 수역에서만 서식하는 멸종위기종(1급) 흰수마자가 2019년 세종보 하류에서 재발견된 후 2020년 공주보 상·하류에서도 관측됐다.

보 개방 후 모래톱과 수변공간이 각각 축구장 면적의 627배, 2011배 늘어난 것으로 추산됐다. 모래톱과 하중도, 습지, 식생대 등은 멸종위기종 등 다양한 육상생물의 서식·번식·휴식지 기능을 하고 있다. 물새류가 금강·영산강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멸종위기종인 황새와 흑두루미 등 보전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조류도 관측됐다.

모니터링 결과는 14일부터 보 관측(모니터링) 종합정보시스템(water.ni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박미자 환경부 4대강조사·평가단장은 “보 개방 후 3년간 관측한 결과 물흐름이 개선되면서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올해는 한강·낙동강 보에 대한 개방 계획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