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인형 탈모 새 분류 나왔다

한국인형 탈모 새 분류 나왔다

입력 2011-09-26 00:00
업데이트 2011-09-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2개 대학 의료진·대한모발학회 개발

한국인의 탈모를 유형화한 새로운 탈모 분류법이 제시됐다. 기존의 서구형 분류법으로는 정확한 탈모 유형 분류가 어렵고, 이 때문에 치료에도 혼선이 없지 않았다. 이런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연세대 원주의대 이원수 교수 등 국내 12개 대학 의료진이 대한모발학회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했다. 이 BASP(Basic & Specific Type) 분류법에서는 탈모환자의 앞쪽 머리 선에 따라 L·M·C·U형 등 4가지 ‘기본유형’(BA형)으로 나눈다. 여기에다 윗머리(정수리)에도 탈모가 있는 ‘특정유형’(SP형)을 탈모가 집중된 부위와 밀도에 따라 V·F형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분류법은 남성의 경우 ‘노우드-헤밀턴 분류법’, 여성은 ‘루트비히 분류법’이다. 노우드-헤밀턴 분류법은 탈모 진행 정도에 따라 1∼7단계로 유형화하며, 루트비히 분류법은 정수리 부위의 탈모 정도에 따라 1∼3단계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 분류법은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한국인에게 적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남녀 모두에게 사용할 수 없으며, 여성형 탈모가 나타난 남성이나 남성형 탈모를 가진 여성 등 비전형적인 탈모 형태를 분류할 수 없다.

특히 노우드-헤밀턴 분류법은 단계는 세분돼 있지만 단계적이지는 못하다는 단점도 있다. 이에 비해 BASP 분류법은 앞머리 선 형태에 따라 인종 구분 없이 남녀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으며, 단계적으로 유형화해 국제학회도 유효성을 인정하고 있다.

탈모와 가족력의 상관관계를 보면 남성은 부계(47.1%)-가족력 없음(41.8%)-양쪽(8.4%)-모계(2.7%) 등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으며, 여성은 가족력 없음(47.9%)-부계(28.1%)-양쪽(15.6%)-모계(8.4%) 등의 순서를 보였다.

여성 탈모는 확실히 가족력의 영향이 적었으며, 남성 탈모도 가족력과 무관한 경우가 절반에 가까운 41.8%나 됐다. 특히 30세 이전에 탈모가 시작된 환자는 가족력과 관계가 없거나 부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력과 관계없는 조기 탈모가 31.5%로, 부계의 영향(30.4%)을 받은 사람보다 약간 많았다.

이원수 교수(대한모발학회 총무이사)는 “지금까지는 대부분 탈모를 유전성이 강한 질환으로 알았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가족력 없이도 탈모가 생길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앞머리 탈모의 경우 남성은 M자형이 가장 많고, 부계의 영향도 컸다. 즉, 아버지가 M자형 탈모라면 아들도 같은 탈모일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가족력과 관계없는 환자도 30.3%나 돼 눈길을 끌었다. 또 남성탈모의 발생 연령은 L타입에서 가장 일찍 시작됐으며, 이어 M-C-U형 등의 순이었다.

특히 앞머리 선 탈모와 유전적 영향이 적은 윗머리 탈모가 함께 나타난 환자가 전체의 63.1%나 됐다. 서양 남성에게는 거의 없는 여성형 윗머리 탈모(F형)가 한국인 탈모의 특징으로 확인된 것. 한국 남성의 여성형 탈모 비율은 17%로, 서양 남성의 4∼5%와 큰 차이를 보였다.

전문의들은 “남녀의 탈모 유형 차이는 안드로겐성 호르몬과 아로마타제 효소의 대사과정이 원인”이라며 “한국 남성에게 여성형 탈모가 많은 것은 여성과 유사한 기전으로 탈모가 진행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지금까지와 달리 가족력 외에 부모의 탈모 유형이 자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핀 첫 연구”라면서 “향후 환자의 탈모 진행을 예측해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특히 BASP를 활용하면 치료 효과도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9-26 25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