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세월호 생존 단원고 학생들, 심각한 고통 여전

세월호 생존 단원고 학생들, 심각한 고통 여전

입력 2014-12-09 00:00
업데이트 2014-12-09 1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세월호 사고 때 생존한 단원고 학생들이 지금도 스트레스와 우울증·불면증상에 시달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려대 안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한창수 교수팀은 세월호 사고 이후부터 생존학생들을 대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관련 증상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정기적인 상담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체크 리스트 및 우울 건강 설문지 작성, 아테네 수면척도를 이용한 심리평가를 시행했다. 평가는 사고 직후 초기 치료를 받은 학생 74명 중 지금까지 계속 치료를 받고 있는 38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평가 결과, 사고 직후에는 스트레스 평균 32점, 우울 4.8점, 불면 평균 6.8점 등으로 생존학생 대부분이 불안·우울·과각성(자극에 대해 정상보다 과민하게 반응하는 상태)·침습적 사고와 불면 등 급성 스트레스장애 증상을 보였다.

 사고 1개월 후에는 스트레스 평균 21.5점, 우울 평균 2.7점, 불면 평균 3.3점 등으로 낮아져 점차 회복세를 보였으나, 사고 후 6개월에 접어들자 스트레스 평균 24.8점, 우울 평균 2.8점, 불면 평균 6.3점으로 다시 증상이 악화되는 양상을 보이기 시작했다. 한창수 교수는 “검사 결과 스트레스는 15~20점, 우울은 7점, 불면은 4점 이상이면 전문의의 진료 및 치료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경우 일반적으로는 사고 10~12주까지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다가 그 후에 일부에서 다시 증상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단원고 생존학생들도 이와 비슷한 경과를 보이고 있다.

 한창수 교수는 “단원고 생존학생들은 전반적으로 안정돼 일상생활에 적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불면·불안·예민함 등의 증상이 지속되거나 악화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다”면서 “증상이 악화되는 시점에서 치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향후 다른 스트레스 요인들이 더해지면서 스트레스 증상의 만성화 및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증상 외에도 우울증·불안장애·충동조절장애 등의 악화 가능성이 있으므로 적시에 치료가 이뤄지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의 치료 목적은 회피반응, 재경험반응, 과각성반응 등을 조절하는 것은 물론 느낌이나 감정으로만 남아 있는 부정적 기억을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을 만큼 명확하게 기억하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일상으로의 복귀를 돕고, 긍정적인 생활 방식이 이뤄지도록 유도한다. 한창수 교수는 “치료를 위해 생존학생 개개인의 심리적 특수성과 개별성을 고려해 의학적으로 관찰해야 한다”면서 “스트레스 증상 정도에 따라 고등학교 졸업 전까지는 최소 월 1회, 졸업 이후에는 최소 3개월~1년 주기로 지속적인 정신건강의학적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심재억 의학전문기자 jesh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