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메르스 종식 선언] 정보벽 허물고 핫라인 만들고 매뉴얼 갖추자

[메르스 종식 선언] 정보벽 허물고 핫라인 만들고 매뉴얼 갖추자

이성원 기자
입력 2015-07-28 23:32
업데이트 2015-07-29 03: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장서 고군분투한 전문가들 진단

지난 70일 동안 일선 현장에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 마침표를 찍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사람들이 있다. 메르스 감염경로를 추적하는 역학조사관, 일선 현장에서 굵은 땀방울을 흘렸던 보건소 공중보건의와 직원들이다.

이들은 28일 한목소리로 우리의 메르스 사태에 대한 초기 대응을 지적했다. 전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과 인력이 현장에서는 절실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태 이후 역학조사관으로 활동했던 천병철 고려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메르스 초기에 환자 이동 경로가 담긴 폐쇄회로(CC)TV나 환자의 과거 질병 등 기본 정보에 대한 접근이 막혀 있었던 점을 가장 아쉬운 대목으로 꼽았다.

천 교수는 지난 5월 30일 질병관리본부 요청에 따라 역학조사관으로 참여했다. 하지만 메르스 주요 진원지였던 삼성서울병원에 대한 역학조사에서 큰 장벽과 마주해야 했다. 지난달 7일부터 그 금쪽같던 일주일 동안 단 1명의 환자 정보에도 접근할 수 없었다.

그는 “물론 역학조사 기간 내내 정부와 위원회 간 협조가 이뤄지지 않은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사태 초기에 공무원 신분인 역학조사관과 민간 역학조사관, 조사위원회에 속한 역학조사 전문가들의 업무 분담이나 역할, 협조 관계가 원활하지 못했다”고 되돌아봤다.

공중보건의들은 이번 메르스 사태를 겪으며 온몸으로 현장의 인력 부족을 체험했다. 실제로 보건소에 배치된 공중보건의는 1명 혹은 2명에 불과했다. 전공과 상관없이 전염병 업무에 투입됐다.

김종근 평택보건소 공중보건의는 “의학적 격리에 대해 생소해하는 시민들을 이해시키는 일이 가장 힘에 부쳤다”며 “한 사람이 나서서 방문하는 시민 2000~3000명을 상대로 교육을 하는 데 한계를 느꼈다”고 고백했다.

김 보건의는 “한정된 보건 인력으로 지역별로 전염병에 대처하려면 정부의 시책이 바로 적용될 수 있는 효율적인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며 “행정기관과 일선 병원 사이의 괴리를 줄일 수 있도록 핫라인 등이 구축돼야 비상사태 때 헤매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영수 강남구 보건소 보건과장은 “중앙정부의 전염병 관리 지침이 지난해 만들어졌지만 상황에 따른 세부 지침은 나와 있지 않아 현장 혼란이 있었다”며 “메르스 사태를 중심에서 겪은 지자체 보건소들이야 다시 전염병이 창궐해도 대처할 수 있는 경험이 쌓였지만 그렇지 않은 지자체의 경우 모의 훈련도 필요할 것 같다”고 제안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5-07-29 4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