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설마, 우리 집 댕댕이도?...국내 첫 반려동물 확진에 불안감

설마, 우리 집 댕댕이도?...국내 첫 반려동물 확진에 불안감

김병철 기자
입력 2021-01-25 13:15
업데이트 2021-01-25 1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려묘에 이어 반려견까지 코로나 확진…산책, 접촉 우려 시선
수의사회 등 “반려동물도 코로나19 PCR 진단검사 해야”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월 28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강아지 한 마리가 마스크를 쓰고 주인 품에 안겨 있다. 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해 1월 28일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강아지 한 마리가 마스크를 쓰고 주인 품에 안겨 있다. 연합뉴스
“우리 댕댕이는 괜찮을까요. 반려동물도 코로나 진단검사를 받게하면 좋겠습니다.”

국내에서 반려동물의 코로나19 감염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되면서 반려인들의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강건너 불구경하듯 바라보았던 일이 현실로 다가오면서 혹시 자신이 키우는 반려동물도 감염되지 않을까 걱정이 앞서기 때문이다. 수의사회 등은 “국민들의 불안감 해소를 위해 반려동물에 대해서도 코로나19 진단 검사를 실시해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25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번에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반려동물은 경남 진주 국제기도원에 거주하는 신도의 고양이로 파악됐다. 기도원에 머물던 한 모녀가 어미 고양이와 새끼 고양이 두마리 등 모두 세마리를 키웠는데 새끼 고양이 중 한마리가 양성으로 최근 확인됐다.이 모녀는 앞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와관련 정세균 국무총리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모두발언에서 “최근 한 집단감염 사례의 역학조사 과정에서 반려동물이 코로나19에 감염된 사실을 방역당국이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농림축산식품부는 방역당국과 반려동물 관리 지침을 마련하는 등 불안감이 없도록 조치하라”고 주문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정례브리핑에서 “인간에서 반려동물로 감염된 사례는 확인되지만 그 역방향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국민들을 안심시켰다.

하지만 반련인들이 많이 모이는 온라인 카페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에는 불안감을 호소하는 글이 잇따르고 있다.

이날 한 카페에는 “국내에서도 반려동물 코로나 확진이라니 충격적이다”,“동물이 사람에게 전파하면 큰일이다. 이제 산책도 못하겠다”,“해외에서 반려동물 감염사례가 많았는데 결국 우리도 뚤렸다”,“반려견 마스크 구입하는 곳좀 알려주세요”라는 글이 올랐다.

또 “요즘 길고양이 밥주는 사람도 줄었는데 해코지 할까봐 걱정이다”, “중국 우환에서 반려묘를 아파트에서 던져 죽게 했던 일이 생각난다”는 등 길 고양이 학대로 번지지 않을까 걱정하는 글도 많았다.

고양이뿐 아니라 반려견에서도 코로나 확진 의심 사례가 나왔다는 한 수의과대 교수의 주장이 제기되면서 반려인들의 근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성식 경기도수의사회 회장은 “국내 첫 코로나 확진 반려동물이 나오면서 동물병원 마다 반려인들이 문의 전화가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반려인구 1000만 시대가 도래한 만큼 반려동물에 대해서도 코로나 PCR(유전자증폭) 진단검사를 할수 있도록 해야 한다. 경기도 등 일부 지자체에서는 이미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 이은경 경기도 동물보호과장은 “방역당국에서 발표했듯이 코로나가 반려동물에서 인간으로 감염된 사례는 확인된 바 없지만 국민들은 불안감을 갖고 있다. 혹시 이번 일로 유기동물에 나쁜 영향을 미칠까 걱정이다”면서 “중앙에서 메뉴얼이 나오면 언제든지 검사할수 있도록 준비돼 있으며 정부의 지침을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김병철 기자 kbch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