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40년 지난 5월… 악의적 왜곡·폄훼로 유가족 상처 아물지 않아”

“40년 지난 5월… 악의적 왜곡·폄훼로 유가족 상처 아물지 않아”

최치봉, 한찬규 기자
입력 2020-05-17 21:54
업데이트 2020-05-18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거리두기 속 5·18 40돌 참배 행렬

이미지 확대
남겨진 어머니들, 먼저 떠난 가족에게 국화 한 송이
남겨진 어머니들, 먼저 떠난 가족에게 국화 한 송이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5·18민중항쟁 제40주년 추모제’가 열렸다. 소복을 입은 희생자 유가족들이 헌화하고 있다.
광주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5·18 민주묘지 전통 제례식 추모제 개최
유족회 “아픈 역사 되풀이되지 않아야”
오늘 ‘최후 항쟁지’ 옛 전남도청서 기념식
‘달빛동맹’ 권영진 대구시장도 참석 예고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악의적 왜곡과 폄훼로 유가족의 상처는 아직도 아물지 않고 있습니다.”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광주의 아픔을 간직한 금남로 거리는 예년과 달리 한산한 모습을 보였다. 코로나19 여파로 대부분의 행사가 취소되면서 수만명의 시민이 거리에 모이지는 않았지만 각종 문화행사를 통해 5·18 희생자의 영령을 기리는 등 뜨거운 마음을 전했다.

이날 오전 광주 북구 민주로에 있는 국립5·18민주묘지에서는 ‘5·18민중항쟁 제40주년 추모제’가 유족과 시민·정치인 등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됐다. 전통 제례로 치러진 추모제는 추모사와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참석자들의 헌화·분향 순으로 마무리됐다. 김영훈 유족회장은 “40년이 지난 오월이지만 그날의 고통과 슬픔은 여전히 우리 곁을 떠나지 않고 있다. 다시는 아픈 역사가 되풀이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행사가 끝난 뒤에도 5·18묘지에는 유족, 청년, 외국인 등 참배객들의 발길이 이어졌다. 하얀 상복을 입고 5·18묘지를 찾은 5월 어머니들은 40년 전 허망하게 떠난 아들과 딸, 남편의 이름을 부르며 마르지 않은 눈물을 흘렸다. 말없이 소주를 잔에 따라 묘 주변에 뿌리는 아버지와 묘비를 하염없이 바라보는 어머니 사이에 흐르는 정적에는 슬픔이 가득했다. 다른 유가족은 아들이 생전에 좋아하던 콜라를 가져와 뿌리거나 손으로 잡초를 하나하나 뽑는 등 각자의 방식으로 하늘나라로 떠난 가족을 기렸다.

전남대 학생 김미리(20)씨는 “1980년 5월 선배들의 대학 정문 앞 시위가 엄청난 비극의 도화선이 된 것으로 배웠다. 이곳에서 친구들과 함께 그 의미를 되새기려 한다”고 말했다.

이날 오후 7시 천주교 광주대교구는 임동성당에서 김희중 대주교의 집전으로 기념미사를 봉헌했다. ‘우리는 그날처럼 살고 있습니까? -대동사회를 살아가기 위한 나눔과 연대’라는 주제로 열린 미사에는 서울대교구장인 염수정 추기경을 비롯한 전국 교구 관계자 200명이 참석했다. 40주년 당일인 18일에는 처음으로 항쟁 중심지인 광주 동구 5·18민주광장(옛 전남도청 앞)에서 기념식이 열린다. 경찰은 이날 5·18민주광장~충장로1가 입구 구간을 오전 6시부터 전면 통제한다. 이날 극우단체의 시위는 이뤄지지 않을 예정이다. 당초 16~17일 열릴 예정이던 보수단체의 금남로 집회도 법원의 ‘불가’ 판정으로 불발된 바 있다. 한편 권영진 대구시장은 40주년 당일 5·18 기념식에 참석한다. 대구시와 광주시는 영호남을 대표하는 도시로 국민 통합을 위해 ‘달빛동맹’ 공동협력협약을 맺고 올해로 8년째 광주 5·18민주화운동 기념식과 대구 2·28민주운동 기념식에 교차 참석하고 있다. 올해 대구 2·28민주운동 기념식은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열리지 않았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대구 한찬규 기자 cghan@seoul.co.kr
2020-05-18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