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다문화 청소년들이 전하는 삶의 어려움

다문화 청소년들이 전하는 삶의 어려움

입력 2010-08-12 00:00
업데이트 2010-08-12 14: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문화 가정과 탈북 청소년들이 한국 사회에 살면서 부닥치는 어려움과 사회적 편견을 토로하며 정부에 개선책 마련을 촉구했다.

 12일 탈북자와 다문화 지원 재단법인인 무지개청소년센터와 국회 아동청소년미래포럼의 공동 주최로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탈북·다문화 청소년의 사회통합을 위한 청소년 토론회’에서 다문화 가정과 탈북 청소년들은 ‘청소년들이 만드는 공존과 통합의 한국’을 주제로 다양한 정책을 제안했다.

 이들 이주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 등 27명은 국제결혼가정,외국인근로자가정,난민·라이따이한,탈북 청소년 등 4개 팀으로 나눠 지난 6월부터 5~6회 만나 이주 배경 청소년들의 사회통합을 위한 지역사회와 정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 결과를 이날 발표했다.

 이들은 공통으로 언어 장벽에 따른 교육 소외를 우선 해결 과제로 꼽았다.

 국제결혼가정 자녀인 K군(17)은 “한국어를 제대로 구사하지 못하는 어머니와 생업에 바쁜 한국인 아버지 아래서 기본적인 한국어조차 배울 수 없는 다문화 청소년들은 이른바 ‘교육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현실이 이렇다 보니 다문화 청소년들은 공교육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채 대안 시설들에만 손을 뻗고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근로자가정 청소년’팀에 속한 A양(19.여)은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한국어를 배울 수 있게 학교에서 수업 후 한글을 공부하는 시간을 마련해줘야 한다”며 “또 학교에 다니지 않는 학생들에게도 주변에서 한국어를 공부할 수 있는 시설을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주 가정 청소년들은 또 학교에서 같이 생활하는 또래 한국 학생들과 교사들의 인식 전환을 촉구하기도 했다.

 K군은 “다문화 청소년을 돕는 정책 마련도 시급하지만 그들을 향한 한국 청소년들의 시선과 인식 개선 또한 필요하다”며 “민족성을 중시하는 기존 교육제도를 재고하고 청소년들을 위한 다문화 이해교육의 시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교 2학년에 재학 중인 탈북 소녀 P양은 “탈북 청소년들 곁에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가 탈북청소년에 대한 지식과 이해가 부족한 것이 큰 문제”라며 “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이 실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주 가정 청소년들은 ‘다문화’란 이름으로 함께 묶이고 있으나 특수한 처지에 따른 개개의 어려움은 각기 다른 법.

 A양은 “다문화가족지원법은 외국인근로자 가정을 제외하고 있어 자녀가 복지혜택을 받을 수 없는 구조로 돼 있다”며 “특히 의료와 교육의 문제는 아동이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임에도 불구하고 무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난민인 W씨(21)는 “수년 걸리는 난민신청 기간 청소년들은 난민 인정이란 탈출구가 나올 때까지 교육,의료,행정에서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있다”며 “라이따이한의 경우 베트남에서 차별을 당하고 한국에선 체류가 쉽지 않으며,한국에 체류하더라도 이들을 뒷받침해주는 정책이 없어 힘든 실정”이라고 전했다.

 탈북 소녀 P양은 “판이한 문화와 체제에서 살아온 탈북주민들은 남한의 보편적인 인식과 정반대되는 가치관을 갖고 있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생활과 자본주의 사회에 필요한 기본지식이 없고 전문적인 기술은 더욱 없다”며 “탈북 주민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은 어른들만의 문제로 그치지 않고 탈북청소년들에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