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전사·패장·사단·군단·함대… 월드컵 용어는 전쟁중?

전사·패장·사단·군단·함대… 월드컵 용어는 전쟁중?

입력 2010-07-14 00:00
업데이트 2010-07-1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군대용어 남발 “독재 잔재”

남아공 월드컵에서 태극전사(戰士)는 선전했다. 월드컵 첫 경기였던 그리스전(戰), 허정무사단(師團)은 승전보(勝戰譜)를 전해 왔다. 비록 아르헨티나전(戰)에서는 전력(戰力)을 발휘하지 못해 허 감독은 패장(敗將)이 됐지만 나이지리아전(戰)에서 무승부를 일궈내며, 원정(遠征) 첫 16강이라는 쾌거를 거뒀다. 한편, 네덜란드 오렌지군단(軍團)과 스페인 무적함대(無敵艦隊)의 대결로 압축된 월드컵 결승전(戰)에서는 스페인이 사상 처음으로 우승했다.

이미지 확대
언제부터인가 축구는 ‘이기는 것’에서 ‘즐기는 것’으로 바뀌었다. 월드컵이 전쟁이 아니라 축제라는 얘기다. 하지만 용어만 놓고 보면 월드컵은 아직도 ‘전쟁 중’이다. 앞서 이번 월드컵을 정리한 4개의 문장 속에서 군대 용어는 무려 12번이나 사용됐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戰)이란 말도 영역하면 ‘war’(전쟁)가 아니라 ‘match’(경기, 시합)다. ‘패장’, ‘원정’도 모두 군대 용어다. 심지어 상대팀 별칭도 ‘전사’, ‘사단’, ‘군단’이란 군대 용어를 갖다 붙인다.

남아공월드컵에서 우승한 스페인 축구팀은 한국에선 ‘무적함대’로 부르지만, 정작 스페인에서는 ‘붉은 폭풍’을 뜻하는 ‘라 푸리아 로하’로 일컬어진다. 언어로만 보자면 축구가 즐기는 것이 아니라 전쟁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듯하다.

군대 용어가 남발되는 게 어디 축구뿐일까. 가령, 일본과의 경기는 항상 ‘한·일전’이라 불리며 꼭 이겨야 하는 ‘자존심 대결’이 된다.

지난 2월 캐나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당시 김연아와 아사다 마오와의 라이벌 대결도 ‘피겨 한·일전’이 됐다. 우아하고 아름다운 피겨도 이내 전쟁이 돼 버린 셈이다.

스포츠에 대한 인식은 바뀌고 있는데 왜 아직도 용어는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을까. 이는 우리의 정치 문화와 관련이 깊다는 지적이다.

독재 정권에서 스포츠 민족주의는 정치적 관심을 돌리고 사회 통합을 이룰 수 있는 무척 효과적인 소재였다. 따라서 스포츠의 승부를 전쟁처럼 묘사, 민족주의 감성을 동원했고, 그 잔재가 아직까지 남아 있다는 것이다. 여기에 언론까지 가세해 스포츠 군대 용어를 적극적으로 ‘보급’시켰다.

윤평중 한신대 철학과 교수는 “축구는 민족주의 감성이 가장 잘 동원되는 스포츠인데 군사 정권 잔재 등의 이유로 군사 용어가 과도하게 사용되고 있는 것”이라면서 “다만 2차 세계대전 뒤 스포츠, 특히 축구는 국가 간의 대리전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군사 용어 잔재가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고 분석했다.

이경원기자 leekw@seoul.co.kr
2010-07-14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