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위기의 갈매기 장마 후 다시 날까

위기의 갈매기 장마 후 다시 날까

입력 2011-07-02 00:00
업데이트 2011-07-02 00: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롯데 여유 상실… 무리한 불펜 운용에 투수진 체력 고갈

롯데가 위기다. 스스로도 인정하고 밖에서 봐도 그렇다. 양승호 감독은 5월에 이어 다시 7월 ‘비상 상황’을 선언했다. 일단 지난달 마지막 경기 사직 KIA전을 이겨 반전 기회는 마련했다.

●시작부터 심리적으로 쫓겼다

그러나 1일 경기 전까지 시즌 성적 29승 3무 37패. 6위다. 4위 LG와는 6게임 차. 너무 멀다. 7위 한화에는 0.5게임 차로 겨우 앞선다. 언제든 뒤집힐 수 있다. 시즌 전 우승 도전을 얘기했던 롯데다.

지난 3년 동안 꾸준히 포스트시즌에 진출할 만큼 기본은 되는 전력이다. 어쩌다 이렇게 됐을까. 팬들은 술렁이고 선수단 분위기는 가라앉았다. 과연 위기 돌파는 가능할까.

사실 시즌 전부터 문제가 내재돼 있었다. 프런트도, 코칭스태프도, 선수들도 벼랑 끝에 몰린 채 시즌을 맞았다. 목표는 우승이었다. 그 이하는 실패라고 못박았다. 사령탑 교체 과정에선 잡음이 일었다. 팬들은 우승과 초보 감독 영입 사이의 상관관계에 의구심을 가졌다. 선수단은 시즌 초반부터 이런 부분을 불식해야 했다. 그러면 당장 눈앞의 성적이 중요해진다. 마음이 조급해질 수밖에 없다.

야구란 게 희한하다. 조급하면 더 안 풀린다. 될 것도 안 된다. 시즌 초반 성적이 좋지 않자 구단 안팎에선 훈수가 넘쳤다. 분위기가 이완됐다. 마음먹은 대로 경기가 안 풀리면서 무리수가 나오기 시작했다. 불펜 투입은 빨라지고 포지션과 타순이 자주 바뀌었다.

롯데가 임기응변에 강하거나 조직력이 탄탄한 팀이라면 이런 변화도 나쁘진 않다. 그러나 롯데는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던 지난 3년 동안도 리그에서 가장 기복이 심한 팀으로 여겨졌었다. 전임 로이스터 감독이 주전 선수 위주의 안정적인 기용을 고집했던 건 이유가 있었다.

●투수진 ‘촌놈 마라톤’에 시달리다

문제의 시발점은 투수 운용이었다. 지난해 롯데 선발진은 8개 구단 최다인 평균 5.79이닝을 던졌다. 올 시즌엔 5.28이닝이다. 퀄리티스타트(선발 6이닝 이상 3자책점 이하) 비율은 크게 떨어졌다. 전임 로이스터 감독은 다소 답답하다 싶을 정도로 선발 이닝을 길게 가져갔다. 웬만해선 6회 이전에 안 내렸다. 여러 가지 의미가 있다. 이동 거리가 긴 롯데로선 최대한 선수단 체력을 아낄 필요가 있다. 불펜이 약한 현실적인 조건도 감안해야 한다. 구원진을 일찍 가동할수록 손해다. 길게 보고 힘을 모으는 편이 낫다.

올 시즌엔 반대로 갔다. 적극적으로 구원 투수를 투입했다. 결과는 안 좋았다. 그러는 사이 고원준과 코리는 선발-불펜-마무리를 어지럽게 오갔다. 불펜진은 일찍부터 많이 던진 만큼 피로가 축적됐다. 그러면 선발진은 그런 만큼 쉴 수 있었을까.

그것도 아니다. 지난 시즌 롯데 선발진은 5인 로테이션에 5일 휴식 체제였다. 5일 또는 6일 쉰 게 전체 등판의 89.1%였다. 올 시즌엔 송승준-장원준-사도스키-고원준, 4인 로테이션이다. 자연히 휴식일은 4일이다. 선발진은 선발진대로, 불펜은 불펜대로 피로가 가중되고 있다.

●앞으로가 더 문제다

지난 3년 동안 롯데는 6월 이후에 강했다. 지난해 6월 뒤 46승 3무 33패였다. 롯데가 희망을 거는 대목이다. 그러나 로이스터 이전, 롯데는 전통적으로 여름에 약한 팀이었다. 기본적으로 이동 거리가 길고 체력 관리가 어렵다.

양 감독이 7월 비상 상황을 얘기했지만 사실 시즌 초부터 매 경기 총력전이었다. 더 쥐어짤 여력이 많지 않아 보인다. 오히려 원칙으로 돌아가는 게 해답일 수 있다. 마침 장마 때문에 최소한 시간은 벌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1-07-02 2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