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준결승도 수문장이 승부 좌우? “PK 선방률 36%, 새 규정에 적응”

준결승도 수문장이 승부 좌우? “PK 선방률 36%, 새 규정에 적응”

임병선 기자
입력 2022-12-13 08:36
업데이트 2022-12-13 15: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5일(한국시간) 모로코와 프랑스의 2022 카타르월드컵 준결승 승부를 좌우할 것으로 보이는 수문장 대결에 나서는 야신 부누와 위고 요리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15일(한국시간) 모로코와 프랑스의 2022 카타르월드컵 준결승 승부를 좌우할 것으로 보이는 수문장 대결에 나서는 야신 부누와 위고 요리스.
AFP 자료사진 연합뉴스
모코로의 야신 부누(세비야)와 크로아티아의 도미니크 리바코비치(디나모 자그레브), 아르헨티나의 에밀리나오 마르티네스(애스턴 빌라), 프랑스의 위고 요리스(토트넘)이 2022 카타르월드컵 준결승에서 어떤 선방쇼를 펼쳐 팀을 결승으로 이끌지 관심을 모은다. 아르헨티나와 크로아티아가 14일 오전 4시, 모로코와 프랑스가 다음날 같은 시간 격돌한다.

앞의 세 수문장은 페널티킥 선방으로 눈길을 붙들었는데 이번 대회 페널티킥 선방 비율이 이전보다 상승했다는 국제축구연맹(FIFA)의 분석이 12일(현지시간) 나와 눈길을 끈다. 스위스 국가대표 골키퍼 출신으로 FIFA 기술연구그룹(TSG)에서 일하는 파스칼 추버뷜러는 이날 TSG 브리핑을 통해 이번 대회 골키퍼들의 페널티킥 선방 비율이 36%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4년 전 러시아 대회의 25%에 견줘 11%포인트 오른 것이라고 AP 통신은 설명했다.

추버뷜러는 페널티킥 키커가 공을 차기 직전, 한쪽 발은 골라인에 붙이고 있어야 한다는 최근 강화된 규정에 골키퍼들이 잘 적응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그는 “페널티킥 선방 비율 증가는 엄청난 수준”이라며 “새 규칙이 시행된다고 했을 때 골키퍼들은 불평했지만, 이제는 (골키퍼들이 적응했다는 사실이) 수치로 드러난다”고 설명했다.

콜롬비아 대표팀 수문장 출신인 파리드 몬드라곤도 “한 발을 라인 위에 올려둔 상태에서의 집중력, 선방을 위한 폭발력 등 골키퍼들이 새 규칙에 적응한 방식을 보면 대단하다”고 칭찬했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이 2020년 4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983년 프로축구 출범 후 페널티킥 성공률은 79.2%로 집계됐다. 2010-2011시즌부터 잉글랜드 프로축구 프리미어리그에서도 1397차례 페널티킥 가운데 1094차례 골로 연결돼 성공률은 78%에 달했다. 대략 20%만 골키퍼가 쳐냈다는 뜻인데 이번 대회 수문장들은 30% 이상 쳐낸 것이니 이들의 활약이 범상치 않은 것이다.

특히 4강에 오른 팀 가운데 세 팀의 수문장 활약이 눈에 확 들어온다. 부누는 스페인과의 16강전 승부차기에서 두 차례 완벽히 막아내 3-0 승리를 이끌었다. 리바코비치 역시 일본과의 16강전 승부차기에서 세 차례 선방을 펼쳤고, 브라질과의 8강전 승부차기에서도 첫 키커 호드리구(레알 마드리드)의 슛을 쳐내 분위기를 가져왔다.

마르티네스도 네덜란드와의 8강전 승부차기에서 1, 2번 키커로 나선 버질 판데이크(리버풀)와 스테번 베르흐하위스(아약스)의 슛을 쳐내 영웅이 됐다. 요리스는 페널티킥도 승부차기도 하지 않았지만 견고한 방어로 두 대회 연속 결승행에 힘을 보탰다.

추버뷜러는 2006 독일월드컵에서 한국, 프랑스, 토고가 묶인 조별리그 경기에서 무실점으로 활약하며 ‘아드보카트호’를 울린 이력이 있다. 당시 우크라이나와의 16강전에서도 연장 후반까지 실점 없이 막아내 승부차기로 이끌었지만, 스위스 키커들이 한 번도 성공하지 못해 0-3으로 패하며 아쉬움을 삼킨 쓰라린 기억이 있다.

그는 “골키퍼들이 빌드업 과정에도 참여하도록 요구받고 있다. 이제 단순히 슈팅만 막는 포지션이 아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그런 압박 속에서 페널티킥 방어 비율을 현저히 끌어올렸다니 우리 시대의 수문장들 대단하다.
임병선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