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外人자금, 한국 주식시장 떠나 일본으로 이동

外人자금, 한국 주식시장 떠나 일본으로 이동

입력 2013-01-27 00:00
업데이트 2013-01-27 0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외국인 ‘셀코리아’…2주간 1조5천억원 순매도

외국인이 국내 주식시장에서 급격히 자금을 유출하고 있어 ‘셀 코리아’ 현상이 본격화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외국인이 엔화 약세로 투자 매력이 높아진 일본 증시로 자금을 옮기고 있는 것으로 보여 당분간 수요 악화가 계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유가증권시장에서 지난 14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모두 1조5천406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외국인은 올해 들어 15일까지는 695억원의 순매수를 보였으나 16일부터 순매도로 전환해 본격적으로 ‘팔자’에 나섰다.

지난 25일 하루 동안의 순매도액은 4천900억원에 달했다. 이는 지난해 6월 25일 외국인이 4천982억원을 유출한 이후 하루 기준으로는 가장 큰 순매도액이다.

외국인은 아시아 신흥국 주식시장에서 한국과 대만에서만 순매도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해 들어 24일까지 인도에서 28억6천300만달러 어치를 순매수하는 등 태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베트남에서 강한 순매수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는 4억7천500만달러 어치를 순매도했다.

이에 코스피도 하락세를 면치 못해 새해 첫 거래일 종가 2,031.10에서 25일 1,964.69로 추락했다.

외국인의 급격한 자금 유출은 환율 변동에 따라 단기 수익률을 높이려는 전략의 결과라는 분석이 나온다.

엔화 약세로 일본 증시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면서 국내에 투자됐던 자금이 일본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동양증권 이재만 연구원은 “일본이 통화팽창 전략을 쓰면서 경기 호전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고, 이 나라의 수출 기업 전망이 밝아지면서 주가도 크게 오르고 있다”며 “이를 노리고 외국인이 한국 주식을 팔고 일본 주식을 사들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닛케이255 지수는 작년 10월 이후 23.18% 상승했지만 코스피는 2.48% 하락한 상태다.

이와 더불어 ETF운용사인 뱅가드가 벤치마크 변경 과정에서 매주 4천억원의 매물을 내놓는 것도 자금 유출 규모를 키우고 있다.

외국인들은 일본과 경합을 벌이고 있는 수출 대형주를 주로 내다 팔고 있다.

지난 2주간 외국인 순매도 종목 1위는 삼성전자로 4천638억원에 달했다. 이 종목은 작년 4분기에 사상 최고 실적을 경신했지만 올해 실적 성장이 둔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 3위는 애플의 실적 둔화로 향후 수출에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이는 LG디스플레이와 엔화 약세로 타격을 입은 기아차로 순매도액은 각각 1천382억원, 994억원이었다.

4∼10위는 SK이노베이션, 현대모비스, 한국전력, SK텔레콤, SK하이닉스, 현대차, 엔씨소프트로 역시 수출주가 많았다.

글로벌 경기가 호전된다 하더라도 원화 약세로 수출 기업들이 성장이 예전만 못할 것이라는 의구심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하나금융지주, KB금융, 삼성생명 등 올해 실적 전망이 밝은 은행주와 현대백화점, 롯데쇼핑, NHN 등 환율의 영향을 덜 받는 내수주는 순매수했다.

전문가들은 외국인이 단기간에 강한 순매수로 돌아오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뱅가드가 25주에 걸쳐 매물을 내놓을 예정인데다 원화 강세가 지속되고 있고 주요 기업들의 실적 전망도 밝지 않기 때문이다.

대우증권 이승우 연구원은 “외국인이 매수하려면 지금까지 시장을 이끌었던 IT와 자동차 이외의 대안 업종이 등장해야 하는데 아직 확실하지가 않다”며 “악재가 겹쳐 있기 때문에 환율과 주요국 경기를 보며 움직일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