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환율불안, 올해 韓 경제성장률 흔드나

환율불안, 올해 韓 경제성장률 흔드나

입력 2014-01-05 00:00
업데이트 2014-01-05 1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해 벽두부터 원화 가치가 강세를 보이며 환율이 올해 한국 경제의 최대 복병으로 부상했다.

원화 가치의 강세는 수출 감소로 이어져 이제 겨우 기지개를 켜려고 하는 경제의 발목을 잡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새해 금융시장 개장 첫날인 2일 코스피가 2% 이상 폭락하고 원·달러 환율은 1050원에 턱걸이했다. 이날 서울 중구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의 전광판이 코스피 1967.19를 나타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새해 금융시장 개장 첫날인 2일 코스피가 2% 이상 폭락하고 원·달러 환율은 1050원에 턱걸이했다. 이날 서울 중구 을지로 외환은행 본점 딜링룸의 전광판이 코스피 1967.19를 나타내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올해 미국 달러화에 대한 원화 강세나 엔화 약세는 사실 일정 부분 예상된 흐름이다.

지난해 연말 원·달 환율은 달러 당 1,055.4원으로, 전년말보다 15.2원 떨어지면서 미 달러화에 대한 원화 가치는 1.4% 절상됐으며 특히 엔화에 대해서는 같은 기간 이미 23.6%나 절상된 상황이다.

지난해 연간 무역 흑자가 442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하고 외환보유액도 갈수록 늘어나는 만큼 불가피한 현상이기도 했다.

여기에 일본은 아베노믹스를 바탕으로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은 양적완화 축소에 나서면서 ‘엔저(低), 원고(高)’의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연초 원·엔 환율이 1천원 선 밑으로 떨어지면서 시장에 형성된 위기감은 크다.

원·엔 환율이 하락하면 양국 산업이 경쟁 관계에 있는 품목군에서 일본의 수출은 늘고 한국의 실적은 타격을 입기 때문이다.

당장 수출 실적 악화에 대한 우려가 반영되면서 연초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등 주요 수출기업의 주가가 크게 하락했다.

문제는 그 영향이 개별 기업의 실적 악화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00엔당 1,123원 수준인 연평균 엔·달러 환율이 올해 954원으로 떨어지면 총수출은 3.2% 감소할 것으로 최근 추정했다.

이는 올해 엔ㆍ달러 환율이 100엔까지 오르고 원·달러는 1050원대로 떨어지는 것을 가정한 것이다.

품목별로는 철강(-5.0%), 기계(-4.6%), 자동차(-4.5%), 석유화학(-4.4%), IT(-2.5%) 등 순으로 타격이 컸다.

이 연구원의 임희정 경제동향분석실장은 “서비스 수지나 내수 등은 따지지 않고 수출 감소에 의한 영향만 보면 성장률을 0.1∼0.15%포인트 낮추는 셈”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지난 12월 발표한 ‘거시전망 모형을 이용한 주요 리스크의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서 미국의 출구전략, 국제금융 시장 불안 등과 함께 아베노믹스(엔·달러 환율)의 영향을 주요 리스크로 꼽았다.

보고서는 엔·달러 환율이 10% 상승하면 실질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이 첫해에 0.23%, 둘째 해에 0.51% 각각 주는 등 4년간 연평균 0.58%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오정근 아시아금융학회장은 “환율에 따라서는 수출감소로 정부가 애초 전망한 성장률을 달성하기가 어렵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결국, 관건은 향후 환율 수준이다.

국제금융센터가 작년 12월 하순 12개 투자은행의 전망치를 모아서 평균한 결과, 3개월후 엔·달러 환율 전망치는 달러당 104.92엔, 6개월후는 105.58엔, 9개월후는 107.00엔, 12개월후는 109.86엔 등이었다.

그러나 이 센터 이상원 과장은 “아베노믹스에 대한 의구심 등으로 엔저가 작년 상반기처럼 가파르게 진행될 것으로 보기는 어렵고 원화 가치도 외국인의 주식투자 자금 등의 유입이 둔화하면서 보합세를 띨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