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재무제표상 정부부채 1천117조…연금부채 596조 포함

재무제표상 정부부채 1천117조…연금부채 596조 포함

입력 2014-04-08 00:00
업데이트 2014-04-08 09: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채무는 483조원…국민 1인당 961만원꼴관리재정수지 21조원 적자…금융위기後 최악

지난해 연금충당부채를 포함한 재무제표상의 중앙정부 부채가 1천117조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부서울청사에서 나서고 있는 공무원들.<<연합뉴스 DB>>
정부서울청사에서 나서고 있는 공무원들.<<연합뉴스 DB>>
이중 중앙·지방정부가 반드시 갚아야 할 국가채무는 483조원으로 국민 1명당 961만원으로 계산됐다.

수입보다 지출이 더 가파르게 증가하면서 정부의 실질적인 재정 건전성을 가늠해볼 수 있는 관리재정수지는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악화됐다.

정부는 8일 국무회의에서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13 회계연도 국가결산보고서’를 심의·의결하고 감사원 검사를 거쳐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다.

발생주의에 입각한 중앙정부의 지난해 부채는 1천117조3천억원으로 전년의 902조1천억원보다 215조2천억원 급증했다.

부채 중 국채와 주택청약저축 등이 521조원으로 55조8천억원, 연금충당부채는 596조3천억원으로 159조4천억원이 각각 늘어났다.

중앙정부의 부채가 크게 증가한 것은 공무원·군인연금의 미래 지출액 예상치인 연금충당부채 산정방식 변경 때문이다. 전체 증가액인 159조4천억원 중 140조원 가량이 회계기준 변경으로 불어났다.

연금충당부채는 지금 당장 생긴 것은 아니지만 앞으로의 연금지급 의무에 따라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부채다. 지급시기와 금액이 확정된 국공채나 차입금 등과는 성격이 다르다. 먼 미래를 예측해 계산한 수치여서 앞으로의 보수 상승률, 물가 상승률 등에 따라 큰 폭으로 변동할 가능성도 있다.

김상규 기재부 재정업무관리관은 “연금충당부채 산정 방식을 좀 더 보수적으로 바꾸고 향후 물가 상승률 예상치를 높이면서 회계상 연금충당부채가 큰 폭으로 늘어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는 국가 책임져야 할 부채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지난해 연금충당부채 산정방식 기준을 2012년에도 적용하면 중앙정부의 부채 순증액은 75조원으로 줄어든다.

부채 순증액 가운데 추경과 외환시장 안정용 국고채 발행 등에 따른 국채 발행액이 38조6천억원이다. 공무원의 수, 근속연수 증가로 인한 연금충당부채는 19조2천억원, 주택청약저축이 17조2천억원이다.

지난해 중앙정부의 자산은 1천666조5천억원으로 86조2천억원 늘었다. 부채를 뺀 순자산은 549조2천억원으로 129조원 줄었다.

현금주의에 입각한 지난해 국가채무는 482조6천억원(중앙정부 464조원+지방정부 18조5천억원)으로 전년보다 39조4천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통계청 추계인구 5천21만9천669명으로 나눠 계산하는 국민 1인당 국가채무는 960만9천원으로 2012년의 882만3천원보다 78만6천원 늘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채무 비율은 33.8%로 전년대비 1.6%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국가채권은 223조3천억원, 국유재산은 912조1천억원을 기록했다.

통합재정수지는 14조2천억원 흑자를 기록했지만 정부가 당장 쓸 수 없는 돈인 사회보장성 기금을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21조1천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이는 지난해의 -17조4천억원보다 적자폭이 3조7천억원 늘어난 것으로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43조2천억원 이후 가장 큰 폭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해 GDP 대비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1.5%로 역시 2009년의 -3.8% 이후 가장 나빴다.

총세입은 292조9천억원, 총세출은 286조4천억원, 세계잉여금은 -8천억원, 65개 기금의 수입·지출액은 520조3천억원으로 확정됐다.

일반회계에서 발생한 세계잉여금 흑자 812억원은 공적자금상환기금 출연(244억원), 채무상환(170억원), 세입 이입 등(398억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예비비 지출액은 3조9천386억원으로 예산액의 73.8%만 집행했다.

김상규 재정업무관리관은 “발생주의 회계 방식을 도입하고 연금충당부채를 적극적으로 인식하는 과정에서 정부 부채가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국민에 정보를 제대로 공개해야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는 판단하에 이처럼 기준을 바꿨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