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홍남기 “日수출규제, 명백한 경제보복…철회 안하면 상응조치”

홍남기 “日수출규제, 명백한 경제보복…철회 안하면 상응조치”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9-07-04 09:30
업데이트 2019-07-04 09: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日정부, 오늘부터 대한국 반도체 소재·부품 수출규제 시작

“WTO제소 오래 걸려 추가 대응조치”
“해외의존도 높은 부품 적극 국산화”

“보복이 보복 낳는다면 日도 피해”
“경제성장률 하향조정은 日과 무관”
日 ‘화이트국가’ 대상서 한국 제외
이미지 확대
홍남기(왼쪽) 경제부총리 연합뉴스
홍남기(왼쪽) 경제부총리
연합뉴스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손해배상 판결에 불만을 품고 대(對) 한국 수출 규제에 나선 가운데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일본의 수출 규제에 대해 “명백한 경제보복”이라면서 “일본이 규제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상응한 조치를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4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일본은) 신뢰가 깨졌기 때문이라고 말하지만 사실 강제징용에 대한 사법 판단에 대해 경제에서 보복한 조치라고 명백히 판단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일본은 이날부터 한국의 주력 수출 제품인 반도체·스마트폰·디스플레이에 사용하는 자국산 반도체 소재·부품에 대한 수출 규제에 나선다.

또 외국환 및 외국무역관리법에 따른 우대 대상인 ‘화이트(백색) 국가’ 리스트에서 조만간 한국을 제외할 것으로 알려졌다.

홍 부총리는 “보복 조치는 국제법에 위반되기에 철회돼야 한다”면서 “만약 (수출 규제가) 시행된다면 한국 경제뿐 아니라 일본에도 공히 피해가 갈 것”이라고 예상했다.

홍 부총리는 일본이 규제 조치를 철회하지 않는다면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비롯한 상응한 조치를 반드시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홍 부총리는 “해결이 안 되면 당연히 WTO 판단을 구해야 하기에 내부 검토 절차가 진행하고 있다”면서 “실무 검토가 끝나는 대로 (제소) 시기를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홍 부총리는 “WTO 제소 결과가 나오려면 장구한 세월이 걸리기 때문에 유일한 대안이 될 수는 없다”면서 “국제법·국내법상 조치 등으로도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홍남기(왼쪽 두 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수출입은행에서 ‘2019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홍남기(왼쪽 두 번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수출입은행에서 ‘2019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관계부처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일본의 수출 규제 품목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관련 기업과 소통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응이 중요하다”면서 “보복이 보복을 낳는다면 일본에도 불행한 피해가 될 것이기에 잘 마무리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홍 부총리는 일본의 조치가 나오기 전에 미리 막아야 했던 것이 아니냐는 시각에는 “올해 초부터 경제보복이 있을 수 있다는 뉘앙스가 있었고 해당 내용을 꾸준히 점검해 왔다”면서 “손 놓고 당한 것은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그는 “해외 의존도가 높은 부품·소재·장비 등을 국산화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면서 “관련 예산이 필요하다면 임시국회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심의에서 반영을 논의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홍 부총리는 전날 발표한 ‘2019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2.4∼2.5%로 낮춘 것과 관련해서는 “일본의 규제 조치를 반영한 것은 아니다”라면서 “앞으로 전개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추가 하향 요인이라고 보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