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英전문가 “북한, 옛 공산권 구식 무기 AS기술 적극 판매”

英전문가 “북한, 옛 공산권 구식 무기 AS기술 적극 판매”

입력 2015-12-10 13:33
업데이트 2015-12-10 13: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왕립합동군사연구소 연구원 “中·러 AS 제공 않아 틈새시장 활용””IS에 무기판매 가능성 없다…리비아 보유 무기 유입된 듯”

북한이 과거 러시아와 중국이 판매한 무기를 보수하거나 유지하는 시장에서 관련 기술을 판매하는 방식으로 무기 틈새시장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안드레아 버거 영국 왕립합동군사연구소 연구원은 10일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북한은 현재 세계 군수 시장에서 옛 소련과 중국 등 공산권 국가들이 냉전 시대에 생산한 무기의 부품을 수리하거나 개선하는 데 강점을 갖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버거 연구원은 “냉전 시대에 공산권 국가들이 전 세계에 많은 무기를 공급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러시아와 중국 등은 과거에 판매한 탱크 등 무기에 대한 보수와 유지 서비스를 하지 않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북한은 옛 소련과 중국에서 구입한 무기들을 아직까지 일선 부대에 배치해 사용하고 있는 점을 적극 활용해 싼 가격으로 다른 나라들에 ‘애프터서비스’(AS)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논란이 됐던 ‘이슬람국가’(IS)에 대한 북한의 무기 판매설과 관련, 버거 연구원은 “북한이 바샤르 알 아사드 시리아 정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는 상황에서 시리아 정부와 싸우고 있는 IS에 무기를 팔면 양국 관계에 치명타가 되기 때문에 IS에 무기를 팔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그는 IS가 일부 북한제 무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과거 리비아가 보유했던 북한제 무기들이 내전을 거치면서 암시장으로 흘러들어 간 것으로 추정했다.

또 북한과 무기를 거래하는 국가 현황과 관련해 그는 “냉전 시기에 북한은 전 세계 62개 나라와 비국가 단체에 무기나 관련 부품과 서비스를 판매한 것으로 집계됐다”며 “그러나 이후 점차 줄어들다가 2006년 후에는 시리아, 이란, 미얀마, 콩고민주공화국, 우간다 등 10여개 국으로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무기 거래 국가는 북한과 돈독한 정치·군사 관계를 유지하면서 국제사회로부터 소외돼 있다는 ‘탄력적 그룹’, 별다른 선택권이 없어 북한에 기대는 ‘마지못한 그룹’, 북한과 특별한 관계 없이 단발성으로 무기를 구입하는 ‘즉석 그룹’ 등 세 부류로 나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북한의 불법 무기 거래를 효과적으로 막기 위해서는 “무기금수조치 가운데 총기류를 포함한 소형 무기 거래에 대한 예외 조항을 없애고, 싱가포르, 홍콩, 이집트 등에 있으면서 북한 무기 거래를 돕는 현지 조력자에게 대북 제재를 가하는 등 연대 고리를 끊는 것”이라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