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文대통령, 루스벨트 기념관 ‘깜짝 방문’한 까닭은?

文대통령, 루스벨트 기념관 ‘깜짝 방문’한 까닭은?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1-05-21 00:37
업데이트 2021-05-21 00: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초 미공개 일정…“루스벨트 본받아 한국판뉴딜”

이미지 확대
한미 정상회담에 참석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숙소로 향하고 있다. 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한국시간 22일 새벽) 백악관에서 회담한다. 워싱턴 연합뉴스
한미 정상회담에 참석하는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앤드루스 공군기지에 도착해 숙소로 향하고 있다. 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1일(한국시간 22일 새벽) 백악관에서 회담한다.
워싱턴 연합뉴스
“루스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으로 국가적 위기를 겪어 분열하기 쉬운 상황에서 통합을 이룬 대통령입니다. 대선 때 루스벨트 대통령을 롤모델로 제시했었습니다.”

미국을 공식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은 20일 오전(현지시간) 워싱턴 DC 인근 알링턴 국립묘지를 참배한 데 이어 뉴딜 정책으로 대공황을 극복한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재임 1933~1945년)의 기념관을 방문한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날 방문에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손자인 델 루스벨트 미·사우디 비즈니스 협회장이 함께했다.

문 대통령은 루즈벨트 조각상 앞에서 설명을 듣고 “루스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으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부흥의 시기로 이끌었다”면서 “코로나19로 당시와 유사한 위기를 겪는 상황에서 루스벨트 대통령이 당시 진행했던 정책들을 본받아 한국판 뉴딜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델 루스벨트 협회장은 “문 대통령이 인권 변호사로서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해 주신 것을 잘 알고 있으며 기념관 방문에 동행하게 되어 영광”이라며 1948년 유엔총회에서 채택된 ‘세계인권선언’ 책자를 기념으로 증정했다. ‘세계인권선언’의 채택에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부인인 엘리너 여사가 유엔인권위원회 의장 자격으로 큰 역할을 했다.

루스벨트 대통령은 미국이 대공황의 고통을 앓던 1933년 취임, ‘뉴딜정책’을 내걸고 정부의 과감한 지출 확대와 복지 확충 정책을 폈다. 2차 대전 중 다자주의 국제협력 체계의 대명사인 유엔을 구상했다. 미국의 유일한 4선 대통령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의 이번 방문은 대공황 극복 과정에서 복지 시스템과 기준을 도입하고 통합적 리더십으로 경제 회복을 성공적으로 이끈 루스벨트 대통령에 대한 존경의 의미를 담고 있다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2017년 대선 전에 펴낸 ‘대한민국이 묻는다’에서 존경하는 인물로 다산 정약용과 함께 루스벨트 대통령을 꼽았다.

문 대통령이 올해 신년사에서 제시한 ‘회복·포용·도약’이라는 3대 국정운영 비전이 약 90년 전 프랭클린 전 대통령이 대공황 타개를 위해 내건 뉴딜정책의 슬로건인 회복(Recovery)·구호(Relief)·개혁(Reform)의 ‘3R’과 묘하게 겹친다는 평가도 적지 않았다.

다른 한편으로 21일 정상회담을 하는 바이든 대통령도 루스벨트 대통령을 롤모델로 꼽고 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캠페인 때부터 뉴딜과 다자주의 외교의 상징 유엔을 구상한 루스벨트를 여러차례 언급했으며 취임 후 백악관 내 대통령 책상인 ‘결단의 책상’ 건너편 벽난로 위에 루스벨트 대통령의 초상화를 걸었다.

당초 한국에서 출발할 때까지 공개되지 않았던 이 일정을 두고 루스벨트가 대공황을 극복했듯이 한국판 뉴딜을 통해 코로나 팬데믹을 극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내는 동시에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과 공감대를 쌓으려는 의도도 담긴 것이란 분석이 나오는 까닭이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