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우레탄 타며 유독가스 배출… 지하서 발생 대피 어려워

우레탄 타며 유독가스 배출… 지하서 발생 대피 어려워

입력 2012-08-14 00:00
업데이트 2012-08-1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명피해 왜 컸나

13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공사현장 화재가 짧은 시간에 4명이라는 많은 사망자를 낸 것은 우레탄 등 건설 자재가 타면서 다량의 유독가스가 배출됐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화재가 지하에서 발생해 불길과 연기를 뚫고 밖으로 대피하기가 어려웠던 것도 희생자 수를 키운 이유로 꼽힌다. 소방 관계자들은 이번 화재 현장에 스티로폼과 샌드위치 패널 등 불이 잘 붙는 단열재가 많이 널려 있었고 공사 중이던 우레탄이 타면서 유독가스가 많이 나왔다고 지적했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경기도 이천 물류창고 화재 때와 마찬가지로 화재시 유독가스가 많이 배출되는 우레탄 등의 물질이 있었던 것으로 안다.”면서 “우레탄 등이 타면서 내는 유독가스는 흡입한 지 1분만 지나면 기절하고 5분이 넘어가면 사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지하층에 화재가 나면 지상에서 불이 났을 때보다 사망자가 많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지하 3층에서 불이 났다면 화재로 발생한 연기가 밖으로 못 빠져나가 현장에 있던 사람들이 그대로 마실 수밖에 없다.”면서 “또 지하는 다른 곳으로 피신하기도 불리하다.”고 덧붙였다.

이번 화재사고로 사망한 4명 모두가 지하 3층에서 작업 중 변을 당했다. 화재 면적이 넓지만 소방시설이 부실했던 것도 사망자가 늘어난 원인으로 분석된다. 화재 현장에는 소화기 등 기본적인 소방기구 정도만 비치돼 있었다. 화재 진압에 나섰던 한 소방관은 “지하 3개층 면적이 3만 1000㎡가 넘는 규모가 큰 신축 공사현장이었지만 소방시설도 제대로 갖춰져 있지 않았다.”면서 “다른 현장에 비해 불을 끄는 데도 시간이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김동현기자 moses@seoul.co.kr

2012-08-14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