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단독] ‘AI 보상금’ 80% 싹쓸이 양계기업들만 배불렸다

[단독] ‘AI 보상금’ 80% 싹쓸이 양계기업들만 배불렸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7-01-05 22:30
업데이트 2017-01-06 01: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3~2014년 자료 분석

경영난 개인농, 위탁 전환 늘어
실소유 아닌경우 20%만 보상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할 때마다 수천만 마리의 닭을 살처분하고 가축 실소유자에게 보상금을 주는 방식의 ‘땜질 처방’이 거대 양계기업의 배만 불리고 있다. 위탁 농가에 병아리와 사료를 공급하는 대기업은 정부 보상금의 80%가량을 가져가고 있으며, AI로 경영난에 처한 개인 농가를 흡수하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다.

5일 김현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통계청 자료를 토대로 양계업의 기업화 현황을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1457가구에 불과하던 육계 사육농가는 지난해 3분기 1506가구로 늘었다. 기업과 계약을 맺은 위탁 농가가 늘면서 전체 양계 농가 수가 덩달아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하림과 동우 등 굵직한 양계기업의 본사가 위치해 전국에서 ‘계열화율’(기업과 계약을 맺은 위탁 농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전북은 같은 기간 육계 사육 농가가 291가구에서 329가구로, 전남은 159가구에서 188가구로 증가했다.

김현권 의원은 “최악의 AI 대란이 발생했던 2014년에 경영난을 겪은 개인 농가가 양계기업과 계약을 맺고 위탁 농가로 대거 전환했다”고 밝혔다. 양계업의 기업화로 공장식 밀집 사육을 하는 농가가 증가해 AI에 취약해지고, 그때마다 기업은 몸집을 불리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셈이다.

2014년에도 정부 보상금의 상당 부분은 기업 통장으로 들어갔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김 의원실에 제출한 ‘계열업체별 AI 보상금 지급현황’을 보면 하림, 다솔, 하림의 오너 2세가 경영하는 올품, 동우 등 14개 기업이 지방자치단체로부터 각각 12억원 이상 모두 259억원의 보상금을 받았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01-06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