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인 軍위안부 사료’ 공개한 中지린성기록보관소

‘한국인 軍위안부 사료’ 공개한 中지린성기록보관소

입력 2014-03-24 00:00
업데이트 2014-03-24 1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제가 패망 직전 땅에 묻었던 10만 권 사료 ‘빼곡’

한국인 일본군(軍) 위안부 사료 등 일제가 남긴 위안부 사료 25건을 한국언론에 공개한 중국 지린성기록보관소(이하 기록보관소)는 일제침략역사를 연구하는 전문가 사이에서는 ‘비밀창고’로 불리는 곳이다.

이미지 확대
‘軍위안부 강제동원’ 뒷받침 일제 사료 중국서 발견
‘軍위안부 강제동원’ 뒷받침 일제 사료 중국서 발견 옛 만주국 당시 관동군사령부 등이 남긴 일제사료 10만 권을 정리·연구하고 있는 중국 지린성기록보관소(이하 기록보관소)는 최근 조사정리가 끝난 일본군 위안부 관련 사료 25건을 연합뉴스를 포함한 일부 한국언론을 통해 전격 공개했다. 연구위원들이 자료정리가 진행 중인 기록물 원본들을 옮기고 있다.
연합뉴스
이 기록보관소는 일제의 옛 만주국 수도이자 관동군사령부 소재지였던 창춘(長春·당시 명칭은 신징(新京))에 자리 잡고 있다.

1950년대 관동군사령부 등에 대한 공사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발굴된 일제의 문서들이 모두 이 기록보관소로 옮겨져 정리·연구되고 있다.

무잔이(穆占一) 기록보관소 부소장은 “일제는 (패망 직전) 미처 불태우지 못했던 공문서 등을 한꺼번에 모아 땅속에 묻어버렸다”며 “공사과정에서 우연히 이 문서들이 발견됐다”고 말했다.

현재 기록보관소가 소장한 일제 문서는 총 10만 권에 달한다. 모두 옛 만주국 당시 국무원, 경제부, 민생부, 농업부, 군사부, 관동군헌병대, 지린성공서(公暑), 지린교섭총국, 중앙은행, 건축국 등 65개 기관이 남긴 기록물이다.

청(淸)대부터 중화민국, 만주국, 국민당 정부 시기에 이르기까지 250년간에 걸쳐 생성된 정부·민간 기록물 수십만 건도 이곳에 보관돼 있다.

기록보관소 측은 지난 20일 연합뉴스 등 일부 한국언론을 불러 새로 정리·분석한 위안부 사료를 공개하며 기록보관실 입장도 이례적으로 허용했다. 이곳에 외국인이 들어간 건 처음이라고 했다.

지문인식시스템을 갖춘 두꺼운 철문이 설치된 기록보관실은 온도조절, 방습, 방진 등의 시설이 완벽하게 갖춰져 있었다. 기록보관실의 전체 규모는 800㎡로, 깔끔하게 배열된 철제 서가 안에는 색이 바랜 옛 문서들이 빼곡하게 들어차 있었다.

기록보관소 측은 일제가 공금으로 위안부를 ‘구매’한 내용을 기록한 만주 중앙은행 통화기록과 한국인 군위안부에 대한 강제동원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이는 일본군 베이안(北安)지방검열부의 ‘우정검열월보’(郵政檢閱月報)’ 원본을 공개하고 사진촬영도 허용했다.

기록보관소는 올해 들어 위안부 제도뿐 아니라 난징대학살, 731일부대, 강제노역, 일본군의 폭행, 동북지역 진압정책, 영미 전쟁포로 등을 기록한 일제문서를 정리·분석해 그 결과를 잇따라 중국언론을 통해 발표하고 있다.

그러나 전체 문서분량에 비하면 진행속도는 더딘 편이다. 기록보관소 측은 일제 문서 90%가량이 옛 일본어로 기록된 점을 난제 중 하나로 거론했다.

기록보관소에는 현재 총 122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그 중 연구자는 80∼90명 수준으로 수집·관리·연구를 담당한다. 군위안부 등 일제의 중국침략 연구자는 50∼60명 정도며 그중 위안부 문제를 담당하는 인력은 10명 수준이다.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는 24일 “일본군은 위안부 등의 반인륜적 전쟁범죄를 은폐하려 (관련 문서를) 폐기하려다 실패하자 땅에 묻었다. 이 문서들이 보관된 중국 기록보관소는 일본군 전쟁범죄의 무덤과 같은 곳”이라며 한중 공동연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기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