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KB-금감원 13년째 악연…역대 CEO 내리 징계받아

KB-금감원 13년째 악연…역대 CEO 내리 징계받아

입력 2014-09-04 00:00
업데이트 2014-09-04 14: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영록 회장과 이건호 행장에 대한 중징계 확정으로 KB금융그룹은 CEO(최고경영자) 중징계의 ‘전통’을 되살리게 됐다.

관치금융 방식의 제재라는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금융당국과 KB금융의 악연은 13년째다.

◇김정태·황영기·강정원·어윤대에 임영록·이건호까지

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은 4일 임 회장과 이 행장에 대한 제재 수위를 중징계(문책경고)로 상향 조정했다.

경징계(주의적 경고)로 충분하다는 금감원 제재심의위원회의 의견을 뒤집은 것이다.

이로써 역대 KB금융 수장은 5명, 이 행장까지 포함해 모두 6명이 모두 금융당국의 제재를 받게 됐다. 이 가운데 5명이 중징계다.

김정태 전 국민은행장, 황영기 전 회장, 강정원 전 행장에 이어 임 회장과 이 행장에 중징계가 내려졌다. 어윤대 전 회장만 경징계다.

첫 악연은 KB가 지주사 체제로 전환하기 전인 2004년 김정태 전 행장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주택은행과 국민은행이 합병돼 초대 통합 은행장으로 출발한 김 전 행장은 3연임을 꿈꾸다 임기 만료를 한 달 앞두고 제재를 받았다.

그해 9월 열린 제재심의위에서 김 전 행장은 국민카드 합병과 관련해 회계기준을 위반했다는 이유로 문책 경고를 받았다.

당시 은행장에게 임원 취업을 가로막는 문책 경고를 내린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김 전 행장은 다음 달 말 임기종료와 함께 물러났다.

바통은 황영기 전 회장이 받았다. 우리은행장 겸 우리금융 회장 출신의 황 전 회장은 2008년 9월 KB의 지주회사 출범과 함께 화려하게 금융권에 복귀했다.

그러나 불과 1년 뒤에 직무정지 상당의 중징계를 받고 불명예 퇴진했다. 우리금융 회장 시절 1조원대의 파생상품 투자손실을 냈다는 이유였다.

’외국계 은행 출신의 정통 뱅커’로 이름을 알린 강정원 전 행장은 2009년 9월 황 전 회장의 뒤를 이어 은행장 겸 회장직무대행을 맡았다.

강 전 행장도 금감원 제재로 지주 회장의 꿈을 접어야 했다. 그는 부실 대출과 카자흐스탄 투자 손실, 이사회 허위 보고 등으로 문책경고 상당의 중징계를 받았다.

어윤대 전 회장도 상황은 비슷했다. 어 전 회장은 2010년 7월 취임 때부터 ‘실세 회장’으로 시선을 끌었다. 그러나 정권 말이 되면서 표적이 됐다.

그는 KB금융의 ING생명보험 인수가 무산되자 주주총회 안건 분석기관인 ISS에 미공개 정보를 건넸다는 이른바 ‘ISS사건’으로 주의적 경고를 받았다.

어 전 회장은 재임 시절 발생한 카드정보 유출, 도쿄지점 부당대출 등 사고와 관련해 9일 금감원으로부터 ‘퇴직자 위법사실의 통지’도 받았다.

◇”자리서 쫓아내려 무리한 징계” 논란 거듭돼

금감원은 KB금융 수장을 징계할 때마다 ‘손보기식 징계’, ‘정권 차원의 결정’ 등 뒷말을 낳았다.

이런저런 제재 사유를 들었지만, 실제로는 자리에서 쫓아내고 ‘낙하산 인사’를 내려 앉히는 데 제재권을 남용했다는 비난을 한몸에 받았다.

이명박 정권 출범 이후 황 전 회장과 강 전 행장을 연거푸 몰아낸 ‘KB 사태’가 대표적인 예다.

금감원은 황 전 회장이 자리에서 쫓겨나고 나서 제기한 징계취소소송에서 패했다. 퇴진을 압박하기 위해 무리하게 징계했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강 전 행장을 몰아내는 과정에서도 금감원은 강압적인 검사와 뒷조사에 가까운 행태를 보여 제재 배경에 대한 의구심을 낳았다.

결국 황 전 회장과 강 전 행장은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불명예스러운 퇴진을 해야 했다.

김 전 행장의 경우 임기를 채우고 물러나긴 했지만, 3연임이 유력한 시점에 징계를 내렸다는 점에서 사실상 축출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어 전 회장을 제재한 ISS 정보유출 사건 역시 ‘과잉징계’ 논란 속에 징계당한 임원들이 행정소송을 제기한 상태다.

임 회장에 대한 제재의 경우 제재심의위의 경징계 심의를 최 원장이 중징계로 뒤집는 이례적인 상황까지 연출됐다.

역대 KB 수장에 대한 제재가 매번 논란을 일으켰다는 점에서 이번 임 회장에 대한 중징계 상향 조정도 다른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시각이 존재한다.

금감원은 지난해 이장호 전 BS금융지주 회장에 대해 경영권 남용 등을 이유로 퇴진을 압박한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당시 이 전 회장의 퇴진을 압박한 배경에는 정권 차원에서 염두에 둔 다른 인사를 BS금융 회장에 앉히려는 시도가 있었다는 소문이 금융권에 파다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