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대상] 창조경제 시대, 새 옷을 입혀라

[대한민국 지역브랜드 대상] 창조경제 시대, 새 옷을 입혀라

입력 2013-09-17 00:00
업데이트 2013-09-1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브랜드 향후 전략은

국내에 불어닥친 지역 브랜드 열풍이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다. 지역 브랜드를 통해 사회적, 경제적 효과도 나오고 있으나 창조경제 시대에 걸맞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려면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1990년대 초 세계적으로 공공 부문에서 확산된 생산성·효율성 등 경영 가치가 2000년대 들어 국내에도 밀려왔다. 정부가 먼저 국가 브랜드 창조에 나섰다. ‘다이내믹 코리아’ 등의 슬로건을 내세워 역동적인 이미지를 쌓기 시작한 것이다. 정부는 2009년 대통령 직속 국가브랜드위원회를 출범시키기도 했다. 국가 브랜드에 대한 관심은 고스란히 지방자치단체로 번졌다. 2000년대 중반부터는 ‘아이 러브 뉴욕’ ‘예스 도쿄’ 등을 연상케 하는 ‘하이 서울’, ‘다이내믹 부산’ 등 지역 브랜드가 등장했다. 더불어 지역 특산물이나 축제에 대한 브랜드화도 급물살을 탔다. 특허청에 등록된 특산물 브랜드는 2004년 916개에서 2006년 6522개로 급증했다. 문화체육관광부 집계에 따르면 축제 브랜드는 700건이 넘을 정도다.

지역 브랜드가 봇물처럼 쏟아지며 특산품 등에 대한 구매와 지역 축제 및 관광, 거주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 지역 브랜드가 지역의 유무형 자산 가치를 늘려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지역 주민의 삶을 개선하는 등 지역 장기 발전을 위한 도구로 존재감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이다.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한 삼성이나 LG 등의 제품을 구매할 때 브랜드가 주는 신뢰와 이미지가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과 마찬가지다.

하지만 양적인 증가 속에서 질적 수준을 담보하지 못한 지역 브랜드가 양산되고 있다는 비판도 따른다. 우선 브랜드 이름을 보고 상품과 지역을 연상할 수 없거나 서로 다른 지역에서 비슷비슷한 브랜드가 나오는 경우도 흔하다. 지역 정서를 외면한 브랜드 남용에 예산 낭비도 뒤따른다. 애써 만들어놨는 데 사후 관리가 부실한 사례도 있다. 모두 이름 짓기에 급급해 치밀한 전략이 뒷받침되지 못한 결과다. 지역 브랜드가 성공하려면 정체성을 분명하게 분석하고 시장에 있어서 강점과 약점을 객관적으로 파악한 뒤 감성과 이성에 호소할 수 있는 네이밍(이름 짓기) 작업을 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는 이야기다. 또 지역 브랜드가 단체장 치적 쌓기에 활용되며 단체장이 바뀌는 과정에서 연속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문가들은 지역 브랜드의 성공이 지방자치의 성공이고 국민 행복, 국가 발전으로 연결된다는 인식을 넓혀가야 할 때라고 입을 모은다. 지자체에서도 명품 브랜드를 만들어낼 역량을 키워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지자체가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브랜드를 개발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사회문화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지속성을 갖기 위해 지역 브랜드만을 위한 공인된 평가와 시상식이 필요하다는 것도 공통된 의견이다. 이종수(연세대 행정학과 교수) 평가위원장은 “주먹구구식으로 이루어진 지역 브랜드화를 보다 체계적으로 바꿔야 할 때”라며 “지역 브랜드 업그레이드가 곧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창조 경제이자 지역 경제는 물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지름길”이라고 말했다.

홍지민 기자 icarus@seoul.co.kr

2013-09-1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