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韓 ‘위안부 압박’에 日 “날짜 제안 몰라”…정상회담 신경전

韓 ‘위안부 압박’에 日 “날짜 제안 몰라”…정상회담 신경전

입력 2015-10-27 17:31
업데이트 2015-10-27 17: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1월 2일 예상 한일 정상회담 앞두고 ‘기싸움’ 고조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간의 첫 정상회담을 둘러싼 한일 양국의 ‘기싸움’이 고조되고 있다.

다음달 2일께 개최될 것으로 예상되는 한일 정상회담을 코앞에 두고 있지만 양국은 27일 오후 시점에서도 정상회담 일정을 확정하지 못한 채 연일 신경전을 벌이는 모양새다.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11월 2일 한일정상회담 개최 방안을 일본 측에 제안했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전날 발언에 대해 “그런 보도를 한 것을 나는 모른다”며 “어쨌든 일한(日韓)의 회담에 대해 최종조정 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보도를 모른다”는 스가 장관의 언급 자체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본 정부의 대변인인 스가 장관이 가장 중요한 외교일정 가운데 하나인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한 청와대 관계자의 발언에 대해 이같이 언급한 것은 고도로 계산된 외교적 화법이라는 분석이다.

청와대 관계자가 전날 한일 정상회담 일정이 확정도 되기 전에 일본 측에 정상회담 날짜로 다음달 2일을 제안했다고 언급한 자체도 외교적으로 극히 드문 일이다.

한일 정상회담에서 핵심 의제가 될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놓고 서로를 압박하는 샅바싸움이 벌어지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일본 요미우리는 신문은 이날 “한국 측은 아베 총리가 서울에 체류하는 동안 군위안부 문제에 대해 입장을 표명할 것을 요구했으나 일본 측은 난색을 표했다”며 “그러자 한국 측은 오찬 없이 약 30분간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일정을 제시했다”고 보도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스가 장관의 언급에 대한 질문에 “그분이 말씀하신 게 ‘그런 보도를 한 것을 모른다’고 했다”고 말했다.

스가 장관이 그런 보도를 보지 못했다는 것이지 우리측이 다음달 2일 한일 정상회담을 갖자고 제안한 내용을 모를 리는 없을 것이라는 의중을 담은 언급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 측이 일본에 11월2일을 제안한 것에 대해 “아베 총리와 일본 정부가 그동안 누차 양국간 정상회담 개최 희망을 표명해온 바 있고, 최근에는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이 유엔총회 때 한일 외교장관회담에서 한일중 정상회의 계기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제의해온 데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외교부 당국자는 또 “정부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정상회담 전제조건으로 제시한 바는 없다”면서도 “양국 정상간 의미있고 건설적인 회담이 되려면 국민적 관심이 크고 해결이 시급한 당면 과거사 현안인 위안부 문제에 있어 진전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데 대해 국내외적으로 이견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측의 신경전이 계속되는 가운데 한일 양국의 일본군 위안부 문제 국장급 협의 채널인 이상덕 외교부 동북아 국장과 이시카네 기미히로(石兼公博)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이 이날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상견례를 겸한 만남을 가졌다.

이 국장과 이하라 준이치(伊原純一) 국장의 후임으로 최근 임명된 이시카네 국장은 이날 첫 만남에서 한일 정상회담과 핵심 의제인 위안부 문제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시카네 국장은 이날 외교부 청사에서 위안부 문제 등에 대한 기자들의 잇따른 질문에도 무거운 표정을 지은 채 입을 굳게 닫았다.

이원덕 국민대 일본연구소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일 양국이 위안부 문제 등을 놓고 서로 양보할 수 없다는 자존심 싸움을 벌이는 양상”이라고 평가하면서도 한일 정상회담은 어쨌든 개최될 것으로 낙관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